I should drink a coke 라는 문장의 should 에 대하여 이야기 하면서
영영사전으로 부터의 should 의 정의 definition 이라고 하고
should 우리는 무언가의 옳은것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should를 사용하였어요 라고
말하죠 그리고 I should drink a coke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고 번한 하여 집니다
무심코 아아 그렇군 하고 위의 설명을 대충 넘어간다면 이제 should는 아/어야 한다는
코리아 말로 뇌에 각인되어지고 drink 마시다 이니까
should drink는 마셔야 한다는 뜻이네 ! 이렇게 생각을 하게 되는 거죠
그래서 I should drink a coke 하면 나는 콜라를 마셔야 해요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하고서 I should drink a coke 라고 말하게 되는 사태가 발생하죠
I should drink a coke 는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는 뜻이고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고 번역한다는 것은 상당한 설득력으로 다가 와요
그것은 바로 이해하여지고 손으로 만져질 듯한
뭔가 어떤 행위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 해야 하는 상황에서
발화되어진 should가
마치 뭔가 어떤 행위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 해야 하는 상황으로 보여지기 때문이죠
should가 보여준 상황은 should의 상황이죠
should가 보여준 상황 뭔가 어떤 행위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
뭔가 어떤 행위를 해야 하는 상황이 should라는 말 자체를 의미하지 않겠죠
I should drink a coke 라는 문장 말이 발화되어지면 두가지 상황이 발생한다고 보아요
I should drink a coke 라는 문장 말이 문법적으로 조성하여져 문장으로서 가지는 뜻 하나
그리고 I should drink a coke 라는 문장 말을 발화하게 한 배경이 되는 상황 하나
I should drink a coke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는 것은
I should drink a coke 라는 문장 말을 발화하게 한 배경이 되는 하나의 상황이
난 콜라를 마셔야 한다는 상황 이겠어요 그래서
I should drink a coke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고 번역하는 것은
난 콜라를 마셔야 하는 상황 이예요 라고 번역하는 것과 같은 것이죠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하고서 I should drink a coke 라는 문장은 발화되어지지 않아요
I should drink a coke 하고서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고 번역하여지지 않는다는 것이죠
I should drink a coke 라고 발화한 것은 문법적 규칙에 따라 만들어진 인간의 언어이고
인간의 언어는 발화자가 처한 상황을 전달 소통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화되어지는 것이죠
I should drink a coke 라고 발화한 문장은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 않아요
아/어야 한다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는 것은
I should drink a coke 라는 인간의 언어가 아니고
I should drink a coke 라는 언어를 발화한 인간이 처한 상황
인간의 언어로서 표현하지 않는 비언어적 상황이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는 상황인 거죠
I should drink a coke 라고 발화되어지면 should drink 라는 언어를 무의식적으로
이해하고 감각적으로 깨닫고 있는 should drink 라는 뜻과
should drink 라는 언어를 발화하게한 발화자가 처한 상황이 동시에 함께 혼재하여 있게 되죠
should drink 라는 말이 가지고 있는 말뜻은 원어민도 의식적으로 설명하기를 꺼려해요
그러나 그들 원어민은 should drink 라는 말이 가지고 있는 말뜻 언어적 의미를
그들의 무의식적 경험과 체험으로 무의식적으로 터득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여요
그래서 그들 원어민은 should drink 라고 발화하게 되면
원어민 자신이 왜 should drink 라고 발화하였는지 무의식적으로 깨닫고 있지만
의식적으로는 왜 should drink 라고 발화하였는지 모른다는 것이이예요
알기 싫다는 것이기도 하여요 그래서 원어민 자신이 왜 should drink 라고 발화하였는지
의식적으로 드러나 보이고 입증하고 설명할 수 있는
원어민 자신이 should drink 라고 발화하게 하는 상황을 should drink 뜻이라고
영영사전에서 should 를 define하는 행위를 하는 것이죠
그것은 should의 말뜻을 정의하는 것이 아닌 should가 발화하여진 상황을 정의하는 거죠
대표적으로 1번 크게 눈에 띄는 그 상황 중의 하나가
의당 뭔가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 해야하는 상황에서
( 우리는 무슨 뜻인지 말하기 힘든 should를 ) 사용하였어요 라고 말하고 있었던 거죠
그래서 I should drink a coke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는 것은
I should drink a coke 라는 문장의 말뜻이 아니고
I should drink a coke 라고 발화한 발화자가 처한 상황이
콜라를 마셔야 하는 상황이라고 이해하여지고 있었어요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는 것은 비언어적 상황이므로
I should drink a coke 라는 문장을 사이비 4차원 주술로 다시 번역하여 하여야 했어요
원어민의 무의식 속에 있는 should의 뜻을 염탐하기는 하지만
should 의 언어적 의미는 define 정의 하여질 수없는 성질이 있어요
코리아 사람이 느끼는 ~려 라는 말과 영어 사람이
느끼는 should의 공통점에 대하여 생각하여 보고 I should drink a coke 라는 문장은
콜라를 마서야 하는 상황에 처한 휴먼이 I should drink a coke 라고 발화하는 데
콜라를 마서야 하는 상황에서 난 콜라를 마시려 하였어요
난 콜라 마시는 행위를 나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자발적 의사로
자의적 임의단행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되어지게 하였어요 하고서
I should drink a coke 라고 발화하는 것은 아닌가 그렇게 느껴졌어요
그러면 역으로 누군가 어떤 놈이 콜라를 마셔야 하는 데
콜라를 마시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면 이 상황에서 어떤 놈을
콜라를 마셔야 하는 상황으로 몰고가서 콜라를 먹이기 위하여 휴먼은 이 상황에다가
You should drink a coke 넌 콜라를 마시려 하였어 !
( 넌 콜라 마시는 행위를 너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자발적 의사로
너에 의하여 자의적 임의단행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되어지게 하였어 ! ) 하고서
You should drink a coke ! 라는 문장을 던질 수 있지 않았나 ? 생각 하기는 하였어요
마찬가지 맥락에서 본다면
I have to drink a coke 라는 문장도 나는 콜라를 마셔야 한다는 뜻이 아니겠죠
I should drink a coke라는 문장도 나는 콜라를 마셔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고 생각하듯이 말이죠
발화자 자신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일행위를 have 로 표현하고 있어요
have 가지고 있다 실사구시하는 양상 으로 have를 이해하고 있어요
발화자 자신이 존재하여지는 행위를 콜라를 마시는 것을 목적대상으로하여서
발화자 자신이 발화자 자신이 존재하여지는 행위를
실사구시 하여지게 하는 양상이라고 I have to drink a coke 라는 문장은
문장으로서의 발화 의미를 가진다고 보아요 역시
I should drink a coke 처럼 뭔가 해야하는 상황에서
I have to drink a coke 라고 발화되어진 것이죠 그래서 코리아 사람은
뭔가 해야하는 상황에서 I should drink a coke
I have to drink a coke 라는 표현이 나는 콜라를 마셔야 한다는 뜻은 아니겠지만
나는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는 상황의 표현으로서 사용하여진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은 아주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였어요
나는 콜라를 마셔야 해요 하고서 I have to drink a coke 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을 지도 몰라요 하지만 나는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는
I have to drink a coke 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상황과 함께 이 상황은
난 콜라를 마시는 것을 목적대상으로하여서
내가 존재되어지는 일행위를 실사구시하는 양상이야 하고서
I have to drink a coke 문장을 I have to drink a coke 라는
문장으로서 발화하는 것이기도 하다고 생각하여요
상황으로서 난 콜라를 마셔야 해요 하고서 I have to drink a coke 라고 발화한다면
난 콜라를 마시는 것을 목적대상으로하여서
내가 존재되어지는 일행위를 실사구시하는 양상이야 라고 생각하여 지면서
I have to drink a coke 라고 발화하지 못할 것 없다고 생각하고 말았어요
난 콜라를 마시는 것을 목적대상으로하여서
내가 존재되어지는 일행위를 실사구시하는 양상이야 하고서
무의식적으로 I have to drink a coke 라고 발화되어지는 것은
바로 그 옆에서 의식하여지는 나는 콜라를 마셔야 해요 라는 상황이 있었기에
그러한 것 이겠다고 오늘의 사이비 주술 운세 점쳐지고 있었어요
말이 언어가 거의 무의적으로 튀어 나와요
화가 나면 자신도 모르게 더러운 욕이 튀어 나오죠 무의적으로 말이예요
그러니까 인간의 입에서 튀어나오는 말이 무슨 말이 튀어나올지 발화자 자신이 모르기도 한다는 것이죠
맛이 있으니까 자신도 모르게 맛에 감탄하고 무의식적으로 야아 이거 맛있네 ! 하고 말이 튀어 나오죠
말이 언어가 인간 휴먼의 무의식적인 셰계에 깊이 관련 하여져 있고
인간의 언어 두뇌 시냅스에 흘러다니는 신경 전달 화학작용이기도 하겠어요
환경에 적응하여 살기위한 본능적인 감각을 자극하는 것이 언어로 표출하여지는 것이기도 하다고 보죠
선생님이 숙제를 해오라 하였어요
집에서 어떤 학습을 하여 오라는 것이죠 학생이 집에서
학생으로서 work 하는 행위가 homework 숙제인가 봐요 근데 학생이 숙제를 히기 싫어 안할래
난 숙제를 못하겠어 하지 않을 테야 버티는 거예요
엄마가 You should do your homework 라고 말하죠
숙제를 안해오는 학생은 학교 급식 치킨을 못먹어요 하고 선생님은 말하였어요
야 너 숙제를 안하면 니가 제일 좋아하는 치킨 못먹어 !
니가 제일 좋아하는 치킨을 먹으려면 넌 숙제를 해야 해 You should do your homework !
발화자인 원어민은 자신 발화한 You should do your homework ! 이라는 문장을
넌 숙제를 해야 해 라는 뜻으로 발화한 것인가
숙제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 니가 숙제를 해야하는 상황에서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You should do your homework ! 이라고 말한 것인가
숙제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서
발화자가 무의식적으로 발화 하여진 should 라고 보여요
왜 원어민은 뭔가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서 뭔가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람들이 항상 should do 라고 말하는 것을 무의식적으로 듣고 배운 거죠
그래서 엄마는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숙제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
숙제를 해야 치킨을 먹을 수 있는 상황에서 쓰이는 그대로의 shoud 문장 표현을
You should do your homework ! 넌 숙제를 해야 하는 상황이야 라고 말한 것이겠죠
그러나 You should do your homework ! 라고 발화한 발화자는
정작 자신이 왜 그 상황에서 should라고 발화 했는지 모르겠다는 것이고
should라는 말뜻은 모르겠다는 것이죠
우리는 정당하게 뭔가 옳은 것을 의당 해야 하는 상황에서 ( 뭔지 그뜻을 알 수 없는 )
should라는 말을 항상 사용 하였어요
숙제를 하지 않으면 치킨을 먹을 없는 상황 치킨을 먹으려면 숙제를 해야 하는 상황
You should do your homework ! 넌 숙제를 해야 해
엄마가 무의식적으로 발화한 should의 말뜻
넌 숙제를 하려했던 양상 이었어 !
넌 숙제를 너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자발적 의사로 자의적 임의단행 하였었던 양상이야
You should do your homework ! 넌 숙제를 하려 하였어 !
We should dance every night
우리는 매일 밤 춤을 추려한 추려했던 양상으로 존재되어지는 양상 이야
우리는 매일 밤 춤을 추려 하였어요
본동사 dance 라는 행위를 should의 성질이 가미되어진 dance라는 행위로 만들어 주죠
We dance every night 이라는 말을 We should dance every night 으로 만들어서
shoud dance 하는 거예요
dance 하는 행위를 우리에 의하여 이율배반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되어지게 하지 않기 위한 목적의식에 입각한 주어 발화자 사람 사물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자발적 의사로서 dance라는 행위를 주어 발화자 사람이
자의적으로 임의단행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되어지게 하는 양상을
should 라고 하였죠 난 이것을 다행히 잊지 않고 기억 하고 있었어요
We should dance every night 라는 상황으로 가공하여지지 않은 원천 오리지날 문장은
발화자에게 우리는 매일 밤 춤을 추려 하였어요 라는 심리적 발화 의미를 품고 있죠
그리고 우리 중에 어떤 놈이 다리가 아프다고 핑계를 대고 오늘 밤 춤을 추지 않아요
우리는 우리의 건강하고 아름다운 육체를 위하여
매일 밤 춤을 추기로 마음 먹었는 데 말이죠 이런 상황에서
발화자가 다리 아프다는 어떤 놈에게 말해요 We should dance every night 라고 말하죠
다리 아픈 놈아 ! 우리는 매일 밤 춤을 추려 하였어요 우리는 매일 밤 춤을 추려 하였어요
우리는 매일 밤 춤을 추려 하였어요 이렇게 우리가 dance하는 행위를
우리는 우리의 자발적의사로 자의적 임의단행 하려 하였던 양상이야
We should dance ! 우리는 춤을 추려 하였어 We should dance ! 우리는 춤을 추려 하였어
다리 아픈 놈아 ! We should dance ! 우리는 춤을 추려 하였어 하고
압박을 가하는 그 심정의 끝자락에서 우리가 춤을 추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
우리가 춤을 추어야 하는 상황을 우리는 매일 밤 춤을 추려 하였어 하고서
We should dance every night 라고 말하고 있는 싱거운 사람
아메리카노 카푸치노를 발견하게 되었어요
그래서 You should not eat chicken 하고 조동사 should 문장을 말하는 데
당신은 치킨을 먹지 않아야 해요 라고 말을 하는 것이죠
What is the definition of "should" ?
조동사 should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그 정의는 무엇입니까 ?
그들은 조동사 슈드의 definition을 정의를 이야기 하였어요
조동사 should의 뜻 의미를 정의한다 규정한다 define 한다는 것 이기도 하겠어요
한데 그들이 define 정의하여서 그 정의를 말하고 있는 should의 정의 definition 이란
조동사 should의 본질적인 언어적 뜻 의미를 정의하고 규정하는 것이 아니었잖아요
그들이 영영사전에서 하고 있는
조동사 should 를 define 한다 정의하고 규정 한다고 하는 것은
조동사 should의 본질적인 언어적 뜻 의미를 정의하고 규정하는 것이 아닌
조동사 should가 발화자에게서 발화되어진 상황이 어떠한 상황인지를
그들의 영영사전에서 사전적으로 define 정의를 하고 있는 것 그것은
should ~ 이어야 한다 ~ 하여야 한다 한다는 것이고
should ~ 이어야 한다 ~ 하여야 한다 한다는 것은
should가 발화자에게서 발화되어진 어떠한 상황이
뭔가 어떤 행위 가/를 ~ 이어야 한다 ~ 하여야 한다 한다는 상황이라는 것이죠
그래서 You should not eat chicken
당신은 치킨을 먹지 않아야 해요 라고 번역하는 것은
조동사 should의 본질적인 언어적 뜻 의미를 번역하여
당신은 치킨을 먹지 않아야 해요 라고 말하는 것이 아닌
치킨을 먹지 않아야 하는 상황을 상황에서
발화자가 You should not eat chicken 이라고 발화하였다는 이야기 예요
그래서 should는 ~ 이어야 한다 ~ 하여야 한다 한다로 번역하여지는 경향이
무척 강하지만
should는 ~ 이어야 한다 ~ 하여야 한다 라는 말뜻 의미를 가진 말이 아니겠죠
~ 이어야 한다 ~ 하여야 한다 라는 상황을 가지고 있는 should 이겠어요
You should not eat chicken
당신은 치킨을 먹으려 하였던 양상 이지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