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이으을리셔어스 ! delicious ! 라고 얼추 100번 정도 쓰고 말한 것 같아요
그러니까 delicious ! 철자가 저절로 써져요 쉐도잉 효과 인가 봐요
드이스 이즈 스오 디이으을리셔어스
This is so delicious
This is so delicious
This is so delicious
이 문장은 이것은 너무 맛있다 또는 이것은 정말 맛있다 라고
한국에서 번역이 되어지고 있어요
so를 정말 너무 라고 한글 번역하다는 얘기예요 암암리에 사람들이
영영사전에서 이 문장의 so를
매우 극단적으로 그러한 정도 범위를 목적대상으로 하여
very, extremely, or to such a degree 라고 설명한 사건 입니다
참 나 so를 그렇게 설명하다니 ? 하기야 뭐 영영사전이 본래 그래요 !
원어민 자신들은
원어민 자신들이 입으로 말하는 so의 의미를
왜 내가 so 라고 말을 하지 ? 하면서
so의 의미를 알아야 이유가 없고 또한 so의 의미를 설명할 필요도 없는 거죠
왜 so 라고 말을 하는지 그 이유 알지 않아도
so의 의미란 말이예요 ! 하고서 so의 의미를 설명하지 않아도
엄마 젖을 먹을 때 이미 so의 의미를 느끼고 깨닫고 있는 것이죠 몸으로 말이죠
원어민 자신들이 왜 so 라고 말을 하는지 그 이유 말할 필요 없이
그 이유 말할 필요 없이 너무나 정말 so를 잘 말한다는 것이죠
그러고는 영영사전에 so의 의미를 어떻게 설명하죠
so는 very, extremely, or to such a degree 라는 상황에서
사용하여 졌습니다
This is so delicious
이것은 너무 맛있다 또는 이것은 정말 맛있다
그래요 영영사전에 so의 뜻 의미 정체를
so가 화자에 의하여 언급 사용하여진 상황과 정황으로서 설명하고 있죠
이것은 엄마 젖을 먹으며 엄마에게서 무형 전수받은 so의 뜻 의미 정체와
so가 화자에 의하여 언급 사용하여진 상황과 정황이 분리하여진 채로
각기 따로 존재한다는 것을 뜻하죠
이것은 so 너무 맛있다 또는 이것은 so 정말 맛있다 라는 상황과 정황을
화자가 so 하면서 언급하는 상황과 정황으로서의 so와
이것은 so 너무 맛있다 또는 이것은 so 정말 맛있다 라는 상황과 정황을
화자가 so 하면서 언급하는
엄마에게서 무형 전수받은 so의 뜻 의미 정체가 따로 따로 있는 거예요
화자가 so 하면서 so를 언급하는 상황과 정황으로서의 so
화자가 엄마에게서 무형 전수받은 so
영영사전에서 보는 것은
화자가 so 하면서 so를 언급하는 상황과 정황으로서의 so 입니다
화자가 so 하면서 so를 언급하는 상황과 정황으로서의 so ! 로서
so를 한국어 번역을 하면
This is so delicious
이것은 너무 맛있다 또는 이것은 정말 맛있다 이며 이것은
화자가 엄마에게서 무형 전수받은 so로서
번역하여지지 않은 것입니다
화자가 엄마에게서 무형 전수받은 so로서 번역하는 것이 불가능 하기도 하겠지만
최대한 화자가 엄마에게서 무형 전수받은 so로서 번역하는 것이 가능한 번역을
시도 해야 합니다 그것
화자가 엄마에게서 무형 전수받은 so 란
원어민 화자가 so 를 이용하여 무의식적으로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so로서 작용하여지는 것입니다
원어민 그들이 무의식적으로 말하게 되는 so와
그들이 무의식적으로 말하여 버린 so가 내 뱉어진 상황과 정황은
서로 별개의 것이며 일치 하지 않거든요
원어민 그들이 This is so delicious ! 라고 언급 했다면
so 를 이용하여 무의식적으로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so가
내 뱉어진 상황과 정황이
이것은 너무 맛있다 또는 이것은 정말 맛있다 라는
상황과 정황이라는 것은 알 수 있어요
엄마 젖을 먹으며 엄마에게서 무형 전수받은 so의 뜻 의미 정체와는
별개로 말이예요
그러므로
This is so delicious 이것은 너무 맛있다 또는 이것은 정말 맛있다 ( so의 상황 )과
This is so delicious 이것은 그토록 맛있다 또는 이것은 그렇게 맛있다 ( so의 정체성 )에
대하여 생각해보는 야만적인 태도이어야 한다 그래서 난 사이비 주술의 칼을 뽑아 치켜 들고서
썩은 so무시를 찾아 온 밤을 헤메이고 있었던 거예요
화자 언니는 뭔가를 먹고 있어요
표정상으로 so delicious ! 할 정도 수준 만큼 먹는 뭔가가 delicious ! 해 보이지는 않아요
무료 픽셀 이미지라서 모델 사진이 맘에 드는 게 이젠 별로 그렇게 없어요
어쨌든 so delicious ! 하다고 하죠
화자 언니는 뭔가를 먹고 있는 데
화자 언니가 먹고 있는 뭔가가
very, extremely, or to such a degree
너무 맛있다 또는 정말 맛있다 ( so의 상황 )이라는 이야기 예요
먹고 있는 뭔가가 너무 정말 맛있어서 내가 so delicious ! 라고 말 하겠다는 데
니가 왜 그래 ! 사이비 주술이나 할 것이지 어따대고 영영사전을 모욕하고 능멸해 !
못된 것 같으니 ! 아아 죄송하구요 ~
화자 언니가 뭔가를 먹고 있는 데 화자 언니가 먹고 있는 뭔가가
delicious ! so delicious !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 delicious ! so delicious ! 라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so 가 뭐야 ?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라는 상황이
so의 뜻 의미 정체성으로 놀아나는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라는 so 상황입니다
상황은 delicious ! very delicious !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라는 so 상황입니다
delicious ! very delicious !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라는 상황은
delicious ! very delicious !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라는 상황대로 놀아나고 그러면서
delicious ! very delicious !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라는 이 상황은
so의 뜻 의미 정체성으로 놀아나는 상황이 벌어 집니다
화자 언니가 먹고 있는 뭔가가
delicious ! very delicious !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라는 상황에
이율배반하지 않고
또한 화자 언니는 delicious ! very delicious !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라는 상황에
자가모순하여지지 않아요
delicious ! very delicious !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하며
뭔가 먹고 있는 화자 언니가
delicious ! very delicious !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하며
뭔가 먹고 있는 행위는
화자 언니에게 자가당작 하여지지 않아요
이게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delicious ! very delicious ! 하는 상황인데
이 상황이 so에 놀아 나면서
이게 맛있어 ! 그토록 그렇게 맛있어 delicious ! so delicious ! 하는 상황 입니다
delicious ! very delicious ! 맛있어 ! 너무 정말 맛있어 라는 상황에
이율배반하지 않아 자가모순하여지지 않아
자가당작 하여지지 않는 양상으로
이게 맛있어 ! 그토록 그렇게 맛있어 delicious ! so delicious ! 한다는
어따대고 영영사전을 모욕하고 능멸해 !
못된 것 같으니 ! 아아 죄송하구요 ~ so delicious ! 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 첨언 : 엄마 젖을 먹으며 엄마에게서 무형 전수받은 so의 뜻 의미 정체 란 ?)
아기는 영영사전의 so에 대한 상황적 설명으로서가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so의 의미를 엄마 젖을 먹으며 엄마에게서 무형 전수 받아요
유전적으로 아기의 뇌에는 so의 의미를 채우기 위한 빈자리가 있거든요
엄마가 말하죠 baby 아기야 !
엄마 젖꼭지를 그렇게 세게 깨물지 마아~
그렇게 엄마 젖꼭지를 세게 깨물면
엄마가 젖꼭지 아파서 아기야 ! 젖을 어떻게 주련~ 아이고 아기야 제발 살살 깨물어 !
아기는 이 때에 so의 뜻 의미 정체을
무의식적으로 받아 들이죠 몸으로 배워요
그렇게 so 란 ?
엄마 젖꼭지를 그렇게 세게 깨물면 엄마가 젖꼭지 아파서 아기야 !
엄마는 아기에 젖을 먹이는 것에 so 이율배반 하지 않을려는 목적의식 있어요
엄마는 아기에 젖을 먹이는 것을 so 자가모순하지 않으려 해요
아기에 젖을 먹이는 것에 이율배반 하지 않고 자가모순하지 않으려는
목적의식에 입각한 엄마하고 아기
엄마 젖꼭지를 so 그렇게 세게 깨물고 있는 아기가
so 엄마 젖꼭지를 세게 깨물고 있는 양상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so 양상으로서
아기에 젖을 먹이는 것 아기와 엄마에게
so 자가당착하여지지 않아야 해요
엄마 젖꼭지를 so 그렇게 세게 깨물면
엄마가 젖꼭지 아파서 아기야 ! 젖을 어떻게 주련~ 한다니까요
He is such a nice man that everybody likes him
He is such a nice man that everybody likes him
He is such a nice man that everybody likes him
such ~ 접속사 that 이라는 틀로 찍어 내는 문장 입니다
영어는 어쨌든 한국어로 먼저 바꾸어 쉐도잉 하여야 하죠
사전에는
so ~ that~ 이 결과·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끌어서
너무 …해서, …할 만큼 으로 번역한다고 하고
"그는 좋은 사람 이므로 이어서 모든사람들이 그를 좋아한다" 고 번역 소개 되었어요
번역은 번역입니다
산은 산이고 물은 물입니다
사전에서 번역한 대로 그대로 번역하면 되는 데
사이비 주술적으로는
He is such a nice man that everybody likes him
"그는 좋은 사람 이므로 이어서 모든사람들이 그를 좋아한다" 번역 자체가
이해가 되질 않아요
영어 학습자들은 배우기 위하여 알기 위하여 사전을 봅니다
such ~ that ~ 으로 말하여지는 구문이고
such이 that이 핵심이니까 such와 that은 번역이 하여져야 하죠
such 그러한 that 그것 하고서 번역이 들어가야
He is such a nice man that everybody likes him 라고 말한 화자의
목적 의도를 살펴 볼 수 있고 또한 무슨 말인지를 대충이라도 이해 하는 것이죠
such 그러한 뜻으로 번역하고
Such는 예속 종속을 뜻하는 말이라고 사이비 주술 합니다
that은 그것하고서 that이 지목하는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해야 하죠
so ~ that~ 이 결과·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끌어서
너무 …해서, …할 만큼 으로 번역한다고 이 설명은
사이비 주술적으로는 이해 불가한 설명 입니다
so ~ that~ 이나 such ~ that ~ 을
that 이 접속사로 결과의 부사절을 이끈다 하는 이 말에서
결과라는 이 말은 이해 불가입니다
so ~ that~ 이나 such ~ that ~ 을 결과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He is such a nice man that everybody likes him
"그는 좋은 사람 이므로 이어서 모든사람들이 그를 좋아한다" 번역이 나오죠
that 이 접속사로 결과의 부사절을 이끈다 말에서
부사절을 이끈다 말을 생각하는 데 이 말은 이해가 약간 되고
that 이 접속사로 결과의 부사절을 이끌기 때문에
that 이 접속사로 이끌은 것은 결과의 부사절입이다
부사절 이라는 것은 that everybody likes him 이고
that의 everybody likes him이 부사절 이기 때문에
모든사람들이 그를 좋아한다 라고 번역이 하여 지면 안되죠
부사절 이기 때문에 everybody likes him이
부사절로서 뭔가를 수식하는 형태의 말로 끝나야 하는 거죠
that everybody likes him
모든 사람이 그를 좋아 한다는 것 접속사 that 그것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양상으로
He is such a nice man
그는 such그러한 양상으로 존재되어지는 어떤 하나의 좋은 멋진 사람 이야
He is a nice man
그는 어떤 하나의 좋은 멋진 사람 이야 라는 말에
such가 오는 것은
그는 어떤 하나의 좋은 멋진 사람 이야 라는 것이 행위가
모든 사람이 그를 좋아 한다는 것 그것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양상에
예속하여지고 종속하여지는 양상으로 그렇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such가 말이예요
모든 사람이 그를 좋아하는 양상에
예속하여지고 종속하여지는 그러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그는 어떤 하나의 좋은 멋진 사람 이야
He is a nice man
He is such a nice man 이라고 말합니다
He is such a nice man that everybody likes him
그는 모든 사람이 그를 좋아하는 것 that그것
such 그러한 양상으로 존재되어지는
그는 어떤 하나의 좋은 멋진 사람 이야
He is such a nice man that everybody likes him
그는 such 그러한 양상으로 존재되어지는
어떤 하나의 좋은 멋진 사람 이야 ! He is such a nice man
모든 사람이 그를 좋아하는 것 that그것 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양상으로
말이예요 that everybody likes him
I studied hard, so that I could pass the exam
I studied hard, so that I could pass the exam
I studied hard, so that I could pass the exam
so ~ that~ 이 결과·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끌어서 ?
이 말의 문법적 의미는 무엇일까요 ? 글쎄요 모르죠 뭐
"so ~ that~ 이 결과·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끌어서 "라는
문법적 설명은 설명할 수 없는 "so ~ that~ 에 대한 문법적 변명이 아닐까요
"so ~ that~ 을 언어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으니까
"so ~ that~ 이 쓰이는 상황으로서 둘러 대는 것이
so ~ that~ 이 결과·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끌어서 ? 라는 설명이라고
사이비 주술하여 져요
말하자면 원인을 알 수 없는 결과적 현상을
원인을 알 수 없는 결과적 현상이 생겨져 있는 상황 정황으로서
문법적 설명을 가하기 때문에
so ~ that~ 이 결과·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끌어서 ? 하고서
설명하여진다고 봐요
I studied hard, so that I could pass the exam
I studied hard, 하고 콤마가 찍혀 버렸어요
이렇게 되면 I studied hard, 는 결과가 될수 없어요
so that I could pass the exam 이 결과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그러나 so그래서 that I could pass the exam
난 시험에 통과 할 수 있었어요 라는 번역은
사이비 주술적으로 이해가 불가한 번역이예요
간단하죠 that I could pass the exam 라는 말은
난 시험에 통과 할 수 있었어요 라는 번역과 같이
완전한 하나의 문장 처럼 서술하여지는 것이 안된다는 얘기예요
that이 있잖아요
that은 지목 수식 관형 접속 부사절이죠
내가 시험에 통과 할 수 있었던 것 that 그것 ! 하고서
서술하지 못하고 지목 수식 관형 접속 부사절로 끝나 버리는 언급이죠
완전한 서술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사이비 주술적으로
I studied hard, 난 열심히 하드하게 공부했어요, 공부했고,
그렇게 그와 같은 양상으로 그러한 양상으로 so 합니다
내가 시험에 통과 할 수 있었던 것 that 그것 !
that I could pass the exam 하고 말하는 것이죠
I studied hard, 난 열심히 하드하게 공부했어요, 공부했고,
( that ) I could pass the exam내가 시험에 통과 할 수 있었던 것
그와 같이 그렇게 그러한 양상 so that (묵음: 으로 말이예요)
자신이 하드하게 공부했다, 고 말하고
내가 시험에 통과 할 수 있었다는 것 that ! 그것 ! 은 ( 이 )
( 자신이 하드하게 공부한 양상 )
그와 같이 그렇게 그러한 양상 so !
( 이예요:묵음처리) (으로 말이예요 :묵음처리 )
, 콤마 so that ~ 말하는 것으로 보여져요
자신이 하드하게 공부했다, 고 말하고
( 자신이 하드하게 공부한 양상 )
그와 같이 그렇게 그러한 양상 so ! ( 이 )
내가 시험에 통과 할 수 있었다는 것 that ! 그것 ! ( 이예요:묵음처리)
I studied hard, 난 열심히 하드하게 공부했어요, 공부했고,
( 자신이 하드하게 공부한 양상 )
그와 같이 그렇게 그러한 양상 so ! that ! 그것 ! 이 (은 )
내가 시험에 통과 할 수 있었다는 것 ! ( 이예요 ! :묵음처리)
I was tired, so I went to bed
I was tired, so I went to bed
I was tired, so I went to bed
~ , so 원인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사
나는 피곤했어요, 그래서 나는 침대로 갔어요
나는 피곤해서 나는 침대로 갔어요
라는 설명과 번역은 문법적으로 예쁘게 하는 거짓말이라고
난 추악하게 사이비 주술을 하죠
미치고 돌아버리죠 난 잠을 못자요 이 예쁜 문법의 거짓말에
화자가 I was tired, so I went to bed 라고 직접 한 말을
올림픽 중계방송하듯 제 3인칭 관찰자 시점에서 해설을 하는 번역을 하면 어쩌나 하죠
제 1인칭 발화자의 시점으로 빙의하여져서 번역을 하여야 하죠
그러니까 제 1인칭 발화자의 시점으로 빙의하여
미쳐 돌아버리는 사이비 주술 지루박으로 번역을 하면
~ , so 원인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사
나는 피곤했어요, 그래서 나는 침대로 갔어요
나는 피곤해서 나는 침대로 갔어요 라고 번역이 안되고
사이비 주술 지루박으로 미쳐 돌아버리는 번역이 되는 거죠
아 어지러워 ~ 날이 너무 더운건 가 ? 어쨌든
"~ , so 원인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사" 이거 아주 위험한 말이예요
아주 그냥 쉐도잉에 치명적이죠
"~ , so 원인의 상황과 결과의 상황을 이어주는 접속사" 라고 해야 해요
"~ , so 원인의 상황과 결과의 상황을 이어주는 접속사" 이기 때문에
so라는 접속사로 이어지는 것은
원인의 상황과 결과의 상황이 결합하여 이어지죠
원인의 상황과 결과의 상황이란 ?
제 1인칭 발화자가
I was tired, so I went to bed 라고 직접 한 말
I was tired, so I went to bed 라는 말이 아니예요
제 1인칭 발화자가
I was tired, so I went to bed 라고 직접 한 말
I was tired, so I went to bed 라고 직접 말한 문장을
언어로서 직접 말하게 만들어 주는 상황이
so라는 접속사로 이어지는 원인의 상황과 결과의 상황이라는 것이예요
제 1인칭 발화자에게서
( 침대로 가는 원인이 되는 ) 나는 피곤한 상황이 생기고
제 1인칭 발화자에게서
( 침대로 가는 원인이 되는 ) 나는 피곤한 상황이
제 1인칭 발화자에게서
나는 침대로 갔어요 라는 결과적인 상황으로 접속 이어지죠
그러니까 제 1인칭 발화자에게서
( 침대로 가는 원인이 되는 ) 나는 피곤한 상황이 생기고
나는 침대로 갔어요 라는 결과적인 상황으로 접속 이어지는
이 상황이란 ?
제 1인칭 발화자에게서 발생한 상황이
그런 상황이라는 얘기에요
이 상황은 제 1인칭 발화자
I was tired, so I went to bed 라고 직접 말한 문장이 아니예요
제 1인칭 발화자는 이 상황
( 침대로 가는 원인이 되는 ) 나는 피곤한 상황이 생기고
나는 침대로 갔어요 라는 결과적인 상황으로 접속 이어지는
이 상황을
난 피곤했어요, 피곤 했고,
so 그와 같이 그렇게 그러한 양상으로
나는 침대로 갔어요 라고 말하는 것이예요
I was tired, so I went to bed
그러니까
나는 피곤해서 나는 침대로 갔어요 라고 말하는 언급이 아니죠
제 1인칭 발화자에게서
( 침대로 가는 원인이 되는 ) 나는 피곤한 상황이 생기고
나는 침대로 갔어요 라는 결과적인 상황으로 접속 이어지는
이 상황은 그냥 상황으로서 상황이 그렇다는 것이고
문장으로서 언급하여지는 것이 아니예요
제 1인칭 발화자에게서
( 침대로 가는 원인이 되는 ) 나는 피곤한 상황이 생기고
( 침대로 가는 원인이 되는 ) 나는 내가 피곤한 이 상황에
so 이율배반 하지 않고 so 자가모순하여지지 않아야 하고
so 자가당착하여지지 않아야 하는
제 1인칭 발화자so
( 침대로 가는 원인이 되는 ) 나는 내가 피곤한 이 상황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양상으로서
so 그와 같이 그렇게 그러한 양상으로
나는 침대로 갔어요 라고 말하는 것이예요
I was tired, so I went to b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