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ght 뜻 연습 Might I use your phone
👩휴대전화를 사용해도 될까요? 하고서
👩May I use your phone? 물으면 됩니다 그러나 좀더 공손하고 정중하게
상대방을 배려하여 👩May I use your phone? 라고 묻지 않고
👩Might I use your phone? 라고 묻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현재 지금 전화를 사용하는 일행위를 현재형으로
👩May I use your phone? 라고 묻지 않고
may의 과거형 might 로 묻는 것이죠
👩Might I use your phone?
현재 지금 전화를 사용하는 일행위를
과거형 might 로 물었으므로
👩휴대전화를 사용해도 될까요? 라고 번역하여질 수 있지만
👩휴대전화를 사용해도 되었을까요? 라고 번역하는 것이 가능 합니다
시제를 현재시제만을 사용하는 모노 타입으로 묻지 않고
시제를 현재시제와 과거시제 스트레오 타입으로 묻는 것입니다
갑자기 다짜고짜 👩Might I use your phone? 하고 물으면
상대방이 정신적 충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시제를 분산하여 여유가 있는 스트레오 타입 시제로 물음으로서
상대방이 정신적 충격을 완화하고
상대방에대한 배려 겸손 공손 정중함의 효과를 노리고
👩May I use your phone? 라고 물어도 될 것을
👩Might I use your phone? 하고
👩휴대전화를 사용해도 되었을까요?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도 있었을까요?
👩휴대전화를 사용하여도 좋았을까요? 하고
might 로 묻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가상적인 might 인가 직설법적인 might인가에 따라서
👩휴대전화를 사용해도 되었을까요? 직설법
👩휴대전화를 사용했어도 될까요? 가상법으로
생각하여 볼 수 있습니다
가상적인 might 인가 직설법적인 might인가를 의식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다고 보아 집니다
might 뜻 연습 may 과거형 might
👩I said that he might eat my chicken
👩난 그가 내 치킨을 먹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어요
화자가 과거에 may를 사용하여 말을 한 거죠
과거에👩" He may eat my chicken " 이렇게 말을 한 것입니다
그러고나서 이제는 현재가 되었는 데
화자가 과거에 may를 사용하여 한 말 👩" He may eat my chicken " 을
화자가 과거에👩" He may eat my chicken " 라고 말을 했다고
현재에 말을 하는 것인 데
현재에는 👩I said that he may eat my chicken 라고 말하지 않고
👩난 그가 내 치킨을 먹을지도 모른다고 말했어요 라고 말하지 않고
👩I said that he might eat my chicken
👩난 그가 내 치킨을 먹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어요 라고
may 의 과거형 might 로 말하세요 그런 얘기예요
👩난 그가 내 치킨을 먹을지도 모른다고 말했어요 라고 말하는 것은
문밥적으로 종속절에 시제가 불일치 한다나 어쩌나 그래서
👩난 그가 내 치킨을 먹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어요 라고 말한다는 것입니다
과거에 먹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지만
현재에는 먹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고 말하는 것인데
may 의 과거형 might 로 말하세요 그런 얘기예요
한국어는 이런 시제 불일치에 대하여 별 신경을 쓰지 않고 말하는 습관으로
👩I said that he might eat my chicken
👩난 그가 내 치킨을 먹을지도 모른다고 말했어요 라고
번역하여지는 현상이 자연스러울 것입니다
그러면서도 영어식 관점으로 보아서
may 의 과거형 might 는
👩I said that he might eat my chicken
👩난 그가 내 치킨을 먹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어요 라고
번역하여도 아무런 이상 증상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까 역시
나는 어제 밥을 먹을지도 모른다고 지금 말하지 마세요
그런 생각으로 말하여지는 것 같아요
👩🦰May I order pizza?
👩🦰Yes, you may order pizza
👩🦰피자를 주문해도 될까요?
말하자면
👨🏻👩🦰It may or may not be true that he likes Jjambbong 라는 문장은
가능성에 대한 추측을 하는 상황에서 may가 쓰였다고 하고
또한 👩🦰May I order pizza? 상대방의 허가 허락을 구하는 상황에서
may가 쓰였다고 하는 대략 그러한 문접적인 설명입니다
언어에 대하여 상황 분석적인 문법으로 접근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유효하지만
공허한 탁상공론처럼 느껴지기도 하는 것은 어쩔 수 없어요
👩🦰May가 가능성에 대한 추측인가 ? 고개를 갸우뚱하고
👩🦰May가 가능성에 상대방의 허가 허락을 구하는 것인가 ? 고개를 갸우뚱하고
👩🦰May가 사용진 그 상황을 문법적으로 의식하여 분석하느라
정신은 착란하여지고 혼미하여지기도 합니다
👩🦰( May ) ( I ) ( order ) ( pizza ) ? 를
👩🦰( 내가 ) ( 피자를 ) (주문해도 좋을 까요 ?)라고 번역하고
👩🦰( 내가 ) ( 피자를 ) (주문해도 될까요 ?)라고 번역하고
👩🦰( 내가 ) ( 피자를 ) (주문할 수 도 있을까요 ?) 라고 번역하지만
이것은 👩🦰( May ) 를 번역할 한국어가 마땅치 않고
(주문해도 좋을 까요 ?) (주문해도 될까요 ?) (주문할 수도 있을까요 ?) 라고
번역 해석하여지는 한국어로서 👩🦰( May ) 실체를 잡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 May )는
(주문해도 좋을 까요 ?) (주문해도 될까요 ?) (주문할 수도 있을까요 ?) 라고
👩🦰( May )의 뜻이 혼재 분산하여져 여러가지로 보여지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생각을 달리하면
(주문해도 좋을 까요 ?) (주문해도 될까요 ?) (주문할 수도 있을까요 ?) 라는 것은
👩🦰( May )의 뜻이 실제 뜻이라기 보다
👩🦰( May )가 사용하여진 상황이
( ~도 좋을 까요 ?) (~도 될까요 ?) (~수도 있을까요 ?) 라는 것으로 볼 수 있어요
👩🦰그러니까 역시 가능성에 대한 추측을 하는 상황
상대방의 허가 허락을 구하는 상황에서
👩🦰( May )가 사용하여졌다는 것이고
👩🦰( May )에 대하여 한국어로 표현하여지는
( ~도 좋을 까요 ?) (~도 될까요 ?) (~수도 있을까요 ?) 라는 표현은
👩🦰( May )의 뜻이 실제 뜻이라기 보다
👩🦰( May )가 사용하여진 상황을 한국어로 인식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것은 사전 문법이 👩🦰( May )의 뜻을 사전으로 알려 주는 듯하면서
👩🦰안알랴줌 ~ 하고는 👩🦰( May )의 뜻을 말하는 듯하면서
👩🦰( May )의 뜻을 👩🦰( May )가 사용하여진 상황으로서
설명을 하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러니 학습자가 학습하고 있는 may의 뜻
( ~도 좋을 까요 ?) (~도 될까요 ?) (~수도 있을까요 ?) 라는 것은
👩🦰( May )의 실제 뜻을 학습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 May )가 사용하여진 상황을
문법적으로 학습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may는 사람에게서 may를 말하게 하는 상황으로 부터
may를 말하게 하는 그 상황과 혼재하여져서
may는 사람에게서 말하여집니다
👩🦰( May ) ( I ) ( order ) ( pizza ) ?
👩🦰( 내가 ) ( 피자를 ) (주문해도 좋을 까요 ?)
👩🦰( 내가 ) ( 피자를 ) (주문해도 될까요 ?)
👩🦰( 내가 ) ( 피자를 ) (주문할 수 도 있을까요 ?)
무서운 것은 문법적으로 또한 의식적으로 치밀하게 분석하여진
👩🦰( May )가 사용하여진 상황으로서
허락 허가를 구하는 상황에서
👩🦰( 내가 ) ( 피자를 ) (주문해도 될까요 ?) 하고서
👩🦰( May ) ( I ) ( order ) ( pizza ) ? 라고 말하여졌다는 것입니다
하나도 무섭지 않은 것은 원어민 화자는
문법적으로 또한 의식적으로 치밀하게 분석하여진
허락 허가를 구하는 상황에서 👩🦰( May )가 사용하여졌다는 문법에
아랑곳하지않고 👩🦰( May )를 능청스럽게 말한다는 것이죠
능청스럽게 말하여 보는 것을 목적으로 may를 학습하여 봅니다
👩🦰( 내가 ) ( 피자를 ) (주문해도 될까요 ?)
👩🦰( May ) ( I ) ( order ) ( pizza ) ?
may를 말한다는 것은
👩🦰내가 내맘대로 내 멋대로 피자를 주문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내가 내맘대로 내 멋대로 피자를 주문할 수도 있지만
👩🦰상대방을 배려하는 것일 수도 있고
👩🦰상대방과의 합의나 타협에 의해서 주문하는 것일 수도 있고
👩🦰상대방에게 허락이나 허가를 받고서 주문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 보아 집니다
피자를 주문하는 일행위를
👩🦰화자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자의에 의하여 임의 단행하여지게 하지 않기 위한
목적의식에 입각한 화자와 👩🦰상대방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화자가 피자를 주문하는 일행위
실제 긍정 가능성 여부 위임하여지게 하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may를 말한다고 보아 집니다
👩🦰( May ) ( I ) ( order ) ( pizza ) ?
👩🦰( 내가 ) ( 피자를 ) (주문해도 좋을 까요 ?)
👩🦰( 내가 ) ( 피자를 ) (주문해도 될까요 ?)
👩🦰( 내가 ) ( 피자를 ) (주문할 수 도 있을까요 ?)
그러므로 👩🦰( May ) ( I ) ( order ) ( pizza ) ? 는
👩🦰 Can I order pizza ? 같은 말이 아닌 것이죠
👩🦰 Can I order pizza ? ≠👩🦰( May ) ( I ) ( order ) ( pizza ) ?
말이 다르고 느낌이 다르고 의미가 다른 것일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이것은 영영사전에 👩🦰 Can I order pizza ? 일까 ?
👩🦰( May ) ( I ) ( order ) ( pizza ) ? 일까 ? 하고서
어떤 문장을 써야 할까 ? 하고 설명을 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마치 사람을 약 올리는 듯한 것입이다 이거는
실제 긍정 가능성을 점지하는 can과
실제 긍정 가능성 여부 위임하는 may와 뭐가 다르게 ?
약오르지 알려주까 ? 하며 학습자를 조롱하는 듯한 설명은
치욕적입니다 👩🦰나만 그런가요 ? 👩🦰난 피해망상이 심한 모양 입니다
어쨌든 좋은 뜻으로 사전이 그렇게 설명한다는 것으로 알겠습니다
그나저나 👩🦰( May ) ( I ) ( order ) ( pizza ) ? 하고 질문이 들어 오면
👩🦰Yes, you may order pizza 라고 may로 받아쳐서 대답하는 것이
무척이나 건방지고 못되먹은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며
may로 물을 때 may로 대답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소문이 항간에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정말로 그런지 일부러
👩🦰( May ) ( I ) ( order ) ( pizza ) ?
👩🦰Yes, you may order pizza 라고 예문을 만든 것입니다
👩🦰예. 당신은 피자를 주문해도 좋아요 !
👩🦰예. 당신은 피자를 주문할 수도 좋아요 !
👩🦰예. 당신은 피자를 주문해도 됩니다 !
뭐 느낌상 그렇게 시건방지고 못되먹은 may대답으로 느껴지지 않는데요
어차피 피자를 주문하는 것에 대한 킬자루를 상대방이 쥐고 있는 마당에
상대방이 👩🦰Yes, you may order pizza 라고 하는 것이 시건방지지 않아요
아니 그럴려면 애초에 may로 묻지를 말든지 할것이지
may로 물어 놓고서 may로 대답하는 것이 시건방 지다니 이상합니다
👩🦰Yes, you may order pizza ! 상당히 상냥하고 애살스럽게 느껴지는 데요
그나저나 음모론 뇌피셜로
👩🦰Yes, you may order pizza
may라고 말하는 사람을
피자를 주문하는 일행위
자의적 임의 결행 하여지게 하지않기 위한
강박의식에 의거한 사람 사물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실제 부정 개연성 여하 일임하여지게하는 일행위에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게하기 위한 의도로
👩🦰Yes, you may order pizza 라고 말하는 뇌피셜 음모론 이기도 합니다
문법적으로 허가 허락을 하는 상황이라고 하니 그런거 같고 같은 데
👩🦰( May ) ( I ) ( order ) ( pizza ) ? 하고서
화자 👩🦰자신이 피자를 주문하는 행위
실제 긍정 가능성 여부를 🤵♀️상대방에게 위임하여지게 하니까
대답하는 사람은 🤵♀️Yes, you may order pizza 하고서
피자를 주문하는 행위
실제 긍정 가능성 여부를
되려 👩🦰 상대방에게 🤵♀️위임하여지게 하는 데요
may 가 상황으로서는 어떤 행위에 대한 허가 허락을 상황인데
말 뜻으로서 may 는 뭔지를 모르겠어요
👨🏻👩🦰It may or may not be true that he likes Jjambbong
👨🏻👩🦰그가 짬봉을 좋아한다는 것은 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그러니까 조동사 may로 왈가왈부 하지말고
그 남자 사람을 직접 찾아가서
짬봉을 좋아하는 지 좋아하지 않는 지 물어 보면 되죠
그러면 조동사 may를 말해야 할 이유는 사라집니다
그러니까 그 남자 사람이
짬봉을 좋아하는 것이 사실이다 사실이지 않다
가부가 결정하여지지 않은 일을 두고서
가타부타 두 사람이 조동사 may를 농락하면서
👨🏻👩🦰It may or may not be true that he likes Jjambbong
👨🏻👩🦰It may be true that he likes Jjambbong
👨🏻👩🦰It may not be true that he likes Jjambbong 하면서
정답게 대화를 하는 것입니다
정답게 대화를 하든지 말든지
우리는 조동사 may를 연습해야 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 It ) ( may be true ) ( that he likes Jjambbong )
( that he likes Jjambbong )
( 그 사람이 짬봉을 좋아한다는 것 that 그것은 )
👨🏻👩🦰( It ) ( may be true )
( It 그것은 ) ( 사실인 양상으로 ) ( be 존재하여지는 양상 ) ( 일 수 (도) 있습니다 )
( It 그것은 ) ( 사실로서 ) ( be 존재하여지는 양상 ) ( 일 지 (도) 모릅니다 )
( be 존재하여지는 양상 입니다 ) + ( may ㄹ 수도 있습니다 )
( be 존재하여지는 양상 입니다 ) + ( may ㄹ 지도 모릅니다 )
👨🏻👩🦰( It ) ( is ) ( true ) ( 사실이다 ) + ( may ) ( 사실 일 지도 모릅니다 )
👨🏻👩🦰( It ) ( is ) ( true ) ( 사실이다 ) + ( may ) ( 사실 일 수도 있습니다)
👨🏻👩🦰( It ) ( may be true ) ( that he likes Jjambbong )
( 그 사람이 짬봉을 좋아한다는 것 that 그것이)
사실로서 존재하여지는 지 아니면
사실로서 존재하여지지 않는 지 결정이 하여지지 않은 상황
알 수 없는 상황에서 may가 말하여 졌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 may ) ( 사실 일 지도 모릅니다 ) 라고 말하는 것은
👩🦰 ( may ) ( 사실 일 지를 압니다 ) 라고 말하는 것이고
👩🦰( may ) ( 사실 일 수도 있습니다) 라고 말하는 것은
👩🦰 ( may ) ( 사실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라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
( 그 사람이 짬봉을 좋아한다는 일행위를 )
( 그 사람이 짬봉을 좋아한다는 것 that 그것을)
👨🏻👩🦰에 의하여
👩🦰( 그 사람이 짬봉을 좋아한다는 것 that 그것은 )👩🦰 사실이야 ! 하고서
( 자의적 ) ( 임의 단행 )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게 하지 않기 위한 목적의식에 입각한
👨🏻👩🦰사람
( 사물 ) ( that he likes Jjambbong ) 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실제 긍정 가능성 여부 위임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 It ) ( is ) ( true ) ( that he likes Jjambbong ) 는 조동사 may로
👨🏻👩🦰( It ) ( may be true ) ( that he likes Jjambbong )
( 그 사람이 짬봉을 좋아한다는 것 that 그것은 )
( It 그것은 ) ( 사실인 양상으로 ) ( be 존재하여지는 양상 ) ( 일 수 (도) 있습니다 )
( It 그것은 ) ( 사실로서 ) ( be 존재하여지는 양상 ) ( 일 지 (도) 모릅니다 ) 라고
말하여지는 음모론 뇌피셜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