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 apple ) ( is ) ( delicious ) 는
( 주어 동사의 형태 ) 를 가진 ( 하나의 문장 ) 입니다
( 주어 동사의 형태 ) 를 가진 ( 하나의 문장 ) 을
( 문장의 구성 요소) ( 문장의 부속 성분) 으로
만들기 위하여 that 이라는 말이 필요 합니다
( An apple ) ( is ) ( delicious )
"사과는 맛있어요" 라는 하나의 독립된 문장을
( 문장의 부속 성분) 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 An apple ) ( is ) ( delicious ) 라는 ( 하나의 독립된 문장) 은
( 사과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하나의 일 행위 ) 입니다
( An apple ) ( is ) ( delicious )는
( 사과는 ) ( 맛있는 양상으로 ) ( 존재되어지는 양상 이다 ) 로 분해 합니다
( 주어 ) ( 동사 ) ( 형용사 )
발화자가
말하고 싶어하는 것은
( 사과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일 행위 )를 말하고 싶은게 아닙니다
( 사과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일 행위 )에
( 존재되어지는 사과 )를 말하고 싶어 합니다
( "사과는 맛있다" ) 가 아니고
( "맛있는 사과" ) 로 말하고 싶어 합니다
( 맛있는 양상으로 )
( 존재되어지는 ) ( 일 행위 )에
( 존재되어지는 ) ( 사과 )를 말하고 싶어 합니다
우리는 맛있는 사과 라고 말하면
맛 있 다 에서 다 가 사라지고 관형형 (으) (느) ㄴ 이 붙어서
( 맛 있 는 사과 )하고서
( "사과는 맛있다" ) 하는 하나의 문장
( 하나의 일행위 ) 에 관형형 (으) (느) ㄴ 이 붙어서
( "사과는 맛있다" ) 하는 ( 하나의 일행위 ) 를
( 맛 있 는 사과 ) 하고서 관형절로 만들 수 있습니다
( "사과는 맛있다" ) 하는 하나의 문장
( An apple ) ( is ) ( delicious ) 라는 ( 하나의 일행위 ) 를
( 맛 있 는 사과 ) 라는 문장으로 만듭니다
( An apple ) 이라고 말합니다
( An apple ) 은 ( 맛있는 양상으로 )
( 존재되어지는 ) ( 일 행위 )에 ( 존재되어지는 ) ( An apple ) 입니다
그리고
이 ( An apple ) 을
( 맛있는 양상으로 )
( 존재되어지는 ) ( 일 행위 )에 ( 존재되어지는 ) ( An apple ) 이라고
관형형으로 만들어 수식해야 합니다
( An apple ) 하고서 ( An apple ) ( is ) ( delicious ) 형태가 됩니다
( 맛있는 양상으로 )
( 존재되어지는 ) ( 일 행위 )에 ( 존재되어지는 ) ( An apple ) 인데
( An apple ) ( 그것이 ) ( 맛있는 양상으로 )
( 존재되어지는 ) ( 일 행위 )에 ( 존재되어지는 )
( An apple ) 이 됩니다 이것은
줄여서
( An apple ) ( 그것이 ) ( 맛있는 양상으로 )
( 존재되어지는 ) ( An apple ) 이 됩니다
그리고 이것은
( an apple ) ( that ) ( is ) ( delicious )이라는 형태가 됩니다
해석을 하면은
( 그것이 ) ( 맛있는 양상으로 ) ( 존재되어지는 )
( An apple ) 이 됩니다
( 존재되어지는 ) 을 관형형으로 봅니다
결과적으로
( 그것이 ) ( 맛있는 양상으로 ) ( 존재되어지는 ) ( 사과 ) 가
( an apple ) ( that ) ( is ) ( delicious ) 으로 되었는데
여기서 that 은
발화자가 ( 맛있는 양상으로 ) 존재되어지는 "사과" "그것이" 하고서
( 사과를 that 으로 지목 ) 하기 때문에 that 이 사용되어지는 것입니다
물론 손가락으로 지시 하거나 지목하지는 않는 데요
마음속으로 생각 속에서 관념적으로 지목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 그것이 ) ( 맛있는 양상으로 서 ) 하게 되는데
이것은
( "사과는 맛있다" ) 하는 하나의 문장
( An apple ) ( is ) ( delicious ) 라는 ( 하나의 일행위 ) 를
( "맛있는 양상으로 서" ) 라고 하는 명사와 되어진 사물로서
만드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는
( 그것이 ) ( 맛있는 양상으로 서 )
( 존재되어지는 ) "사과" 라고 수식하게 되는데
( 그것이 ) ( 맛있는 양상으로 서 ) ( 존재되어지는 )
사과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 "맛있는 양상으로 서" ) 수식을 하게 됩니다
마지막의 이 역활을
that이 하게 되는 것이고
발화자는 해골 복잡한 that이라는 관계 대명를 이용하여
마침내
( 그것이 ) ( 맛있는 양상으로 서 )
( 존재되어지는 ) "사과" 라고 하는 말을
( an apple ) ( that ) ( is ) ( delicious ) 라는 영어 문장으로
만들어서 발화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편의상
맛있는 사과를 an apple that is delicious 이라고 하지만
영어가 말을 만드는 방식이 한국어와 똑 같지는 않는 것입니다
an apple that is delicious 이라는 문장을 보면
( 그것이 ) ( 맛있는 양상으로 서 ) ( 존재되어지는 ) "사과" 라고 하면서
관계 대명사 that 의 기본 기초 개념을
한번 생각해 본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