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on't you need a chef who can make jjajangmyeon well ?
어떤 하나의 요리사 a chef
누군가 짜장면을 잘 만들 수 있는
어떤 하나의 요리사 a chef 를
필요로 하지 않으세요 ?

계속적 비제한적 용법인가 하는 그런 관계대명사예요 ? 모르겠어요
그런건 아무 상관없어요
This is Tom, who I told you about
이 사람은 내가 말하였던 톰입니다
대개 번역을 이렇게 하는 경향이 있는 듯 하죠
who를 번역하지 않았고 about를 번역하지 않게 되는 거죠
이 사람은 톰이야, 하고 하고서 콤마 찍고 한박자 쉬어요
I told you about whom 이나 who 가 되겠어요
누구인가 누구라고 하는 것에 대하여서
누구로서 존재되어지는 사람인가 에 대하여서
누구인가 하는 양상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양상으로서
내가 당신에게 말하였어요
who I told you about
누구인가 누구라고 하는 것에 대하여서
누구로서 존재되어지는 사람인가 에 대하여서
누구인가 하는 양상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양상으로서
내가 당신에게 말하였던 사람으로서 존재되어지는 사람이
이 사람 톰이예요
This is Tom, who I told you about

The people 이라는 사람들은
우리가 시카고에서 만난 누군가로서 존재되어지는 사람들
who we met in Chicago 라는 문장에 수식 당하는 사람들 이죠
We met people in Chicago 우리가 시카고에서 사람들을 만났고
우리가 만난 사람들 누군가로서 존재되어지는 사람들 그 사람들이
The people 입니다 그 사람들이
우리를 방문하는 것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양상으로
오는 양상으로 존재되어지는 양상 이야
이런 이야기 구조 이죠
관계 대명사란 형식이 가지고 있는 실질적 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게 되면 관계 대명사란 형식적 문법 용어는 사라지게 되죠
관계 대명사는 형식적으로 수식하고 수식 당하는 관계 이외의
아무런 관계도 없죠 그게 다 예요
수식하고 수식 당하는 관계의 실질적 내용이
때로는 그 형식을 지배하기도 합니다

세상에 살아 있는 실질적 사람으로서
구체적으로 명확한 양상에 의하여 존재되어지는 사람은 영어로
the man 이라고 하죠
the man 은 수식 당하고 있어요
그 창문을 부수었던 사람으로서 누구지 ? 누구야 ? 누구인가 ? 하는
정체불명한 사람으로서
존재되어지는 who라는 사람에 의하여
수식당하고 있는 사람이 the man이라는 사람이죠
동일 인물입니다
Did you catch the man who broke the window ?
그 창문을 부순 누군가로서 존재되어지는 그 사람을
당신은 잡았나요 ?
Who라는 언어는 W 라는 형식 h 라는 형식 o 라는 형식 구조를 가진
Who라는 글자 입니다 가시적 형태 구조 형식을 가지고 있어요
who라는 언어가 가진 가시적 형태 구조 형식 에 담겨진
who라는 언어의 실질적 내용을 번역하는 것을
깜박하고 잊지 않으셨나요 ?
만약 who라는 언어의 실질적 내용을 번역하면 who 라는 말은
관계대명사 문장에서
어떻게 이해되어지고 무슨 의미로 다가오는 거지
심령은 주술하고 난 레드선하여져
who라는 언어의 실질적 내용을 번역하고야 말았어요

You will meet a woman who lives in Chicago
당신은
시카고에 사는
누구지 누구야 누구인가로서 존재되어지는 정체 불명의
어떤 한 여자를 만날 것입니다
a woman who lives in Chicago
실질적인 여자야 그러나 구체적으로 불분명한 하나의 여자 a woman
그런 성질 속성의 어떤 한 여자 a woman 은
시카고에 살죠 A woman live in Chicago
A woman 은 시카고에 사는 여자로서
누구인지 정체를 알수없고 그래서 정체 불명 정체 불상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되어지는 한 여자 a woman이죠
영어를 사용하는 원어민들은 하루에 몇번 ? 관계대명사
혹은 주격관계 대명사 라는 용어를 사용할까요
그들의 일상에서 말이죠
아마 일부 학생이나 문법 공부시간 아니고서는
평생 주격관계 대명사 who라는 것을 생각하기나 하고 살까요
평생 그들의 일상에서 말이죠
You will meet a woman
당신이 만날 어떤 한 여자가
단지 시카고에 사는 누구인지 알 수 없는
어떤 한 여자 라고 말하는 것 뿐이죠
관계대명 주격 who
You will meet a woman who lives in Chicago 라는 문장의
문법적 형식을 명명하는 허울에 매료 되어지지 않아요
그것은 형식이고 형식적 빈 껍데기 이죠
관계대명 주격 who 라는 문법적 용어는
내가 사는 집의 형식 구조 입니다
내가 사는 집에 내가 직접 들어가서 살게 되면
내가 사는 집의 형식 구조는 저절로 알게 되죠
건축학적인 명칭 형식 구조 용어가 아니라 하더라도 말이죠
내가 사는 집에 내가 직접 들어가서 살게 되면
저절로 알게 되는 내가 사는 집의 형식 구조에 연연해 하지 않아요
내가 사는 집에 내가 직접 들어가서 살게 되는
내 삶의 실질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그것을 알아 보는 거죠
자신이 사는 삶의 실질적인 내용이 없는 데
자신이 사는 삶의 형식 구조를 만드는 것
그것은 관계대명 주격 who 라는 명칭 문법적 형식 구조를 만들고
관계대명 주격 who 라는 언어가 들려주는
실질적인 내용을 모르겠다 하는 것이죠
그것은 관계대명 주격 who 라는 문법 용어를
버리지 않는다는 것이죠
그러므로서 관계대명 주격 who 라는 언어의
실질적인 내용은 느낄수 없게 될지도 모르죠
난 그렇게 생각하죠 그래서 난
관계대명 주격 who 라는 용어 문법적 허상 허울 형식적 빈 껍떼기
속빈 강정을 여기에 버리는 것이죠

It was Tom who called yesterday
( 그것 )
( 어제 전화를 한 call 한 )
( 누구인가 하는 양상으로서 존재되어지는 사람이 존재되어지는 양상 ) ( 그것은 )
( 톰인 양상으로 ) ( 존재되어지는 양상 이었어야 )
( 그것 ) ( 어제 전화를 한 call 한 )
( 누구지 하는 사람 ) ( 누구야 하는 사람 ) (누구일까 하는 사람 )
( 누구인가 하는 사람 ) ( 누구인가 로서 존재되어지는 사람 )
( 누구인가 하는 양상으로서 존재되어지는 사람이 존재되어지는 양상 )
( 그것은 ) ( 톰인 양상으로 ) ( 존재되어지는 양상 이었어야 )
( 그것은 ) ( 톰 ) ( 이었어요 )
It was Tom who called yesterday

The person who called yesterday was Tom
( 그 사람 )
( 어제 전화를 한 call 한 )
( 누구인가 하는 양상으로서 존재되어지는 사람이 존재되어지는 양상 )
( 그 사람은 ) ( 톰인 양상으로 ) ( 존재되어지는 양상 이었어야 )
( 어제 전화를 한 call 한 )
( 누구지 하는 사람 ) ( 누구야 하는 사람 ) (누구일까 하는 사람 )
( 누구인가 하는 사람 ) ( 누구인가 로서 존재되어지는 사람 )
( 그 사람은 ) ( 톰 ) ( 이었어요 )
The person who called yesterday was Tom

난 생각하죠
그것 전화를 한 사람으로서
누구지 누구야 누구인가 하는 사람이 존재되어지는 양상
그것이 존재되어지는 양상 그것은
당신의 여지친구 이었을 것이라 생각 하죠
I think it was your girlfriend who cal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