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t also 뜻 해석 A- 355
I am happy ! I am lazy ! I am fat !
3 문장을 각각 말해도 됩니다 입이 아프다면 동일하게 반복되는
( 괄호 부분 ) I am 을제거하고 적당히 콤마 찍어서
➜ I am happy and ( I am ) lazy and ( I am ) fat ! 이것이
➜ I am happy and ( I am ) lazy and ( I am ) fat ! 이것이
➜ I am happy, lazy and fat ! 이렇게 표현하여지나 봅니다
➜ I am happy, lazy and fat ! 이렇게 표현하여지나 봅니다
I am happy, lazy and fat ! 근데 이것이
I am happy, lazy and fat ! 근데 이것이
➜ I am happy, I am lazy and fat ! 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 I am happy, I am lazy and fat ! 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아니야 아니라면
➜ I am happy, and I am lazy and fat ! 하면 also 없이 아래와 비슷하게 됩니다
➜ I am happy, and I am lazy and fat ! 하면 also 없이 아래와 비슷하게 됩니다
I am happy, and I am also lazy and fat !
I am happy, and I am also lazy and fat !
I am happy, and I am also lazy and fat ! 은
★ 문법이거나 말거나
I am happy ★and I am lazy★ and I am fat ! 입니다
I am happy ★and I am lazy★ and I am fat ! 입니다
나는 행복하다 ★그리고 나는 게으르다 ★그리고 나는 뚱뚱하다
★ 문법이거나 말거나
I am happy ★also I am lazy ★also I am fat ! 입니다
I am happy ★also I am lazy ★also I am fat ! 입니다
나는 행복하다 ★또한 나는 게으르다★ 또한 나는 뚱뚱하다
also 는 한국어로 ~ 도 또한 역시 마친가지로 무엇이 어떠 하다 무엇이다 ! 이런 해석 감각으로 이해하여집니다
I am happy and also lazy ! 는 문법에 맞거나 말거나 이무렇게나
I am happy ★also I am lazy ! 라고 말하여질 수 있습니다
I am happy ★and I am lazy ! 라고 말하여질 수 있습니다
화자 주어는 나는 행복하다 I am happy 를 말합니다 화자 주어는 나는 게으르다 I am lazy 를 말합니다
화자 주어는 나는 행복하다 ! ★그리고 나는 게으르다! I am happy ★and I am lazy !를 말합니다
화자 주어는 나는 행복하다 ! 나는 ★ 또한 역시 게으르다 ! I am happy ★also I am lazy !를 말합니다
화자 주어 한 사람이 행복하기도 하고 게으르기도 하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행복하기도 하고 게으르기도 하다는 🙍♀️화자 주어 사람은🙍♀️🙍♀️2 사람 ! 🙍♀️🙍♀️2 인 ! 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이원 생방송 ! 🙍♀️1인 🙍♀️🙍♀️2역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나는 행복하기 도 하고 🙍♀️나는 게으르기 도 하다 🙍♀️I am happy ★also 🙍♀️I am lazy !를 말합니다
예문이 설명하기에 안 좋아서 바꾸어 봅니다 문법이거나 말거나
Tom likes apples. Also, David likes apples.
Tom likes apples, and David also likes apples.
이 경우에는🙍🏼♂️ 톰은 사과를 좋아합니다 그리고🙍 데이비드 도 또한 역시 마찬가지로 사과를 좋아 합니다 ! 이렇게
🙍🏼♂️톰도 사과를 좋아하고 🙍데이비드 도 또한 역시 마찬가지로 사과를 좋아 합니다 ! 이렇게
톰 데이비드🙍🏼♂️🙍 주어 사람이 🙍🏼♂️🙍2 사람이 등장합니다 그리고 🙍🏼♂️🙍also 나타납니다
그래서 다시 ! 🙍♀️I am happy ! Also 🙍♀️I am lazy ! 🙍♀️ 나는 행복 해요 🙍♀️나는 ★또한 역시 마찬가지로 게으르죠 !
also 의 해석 ★ ~ 도 또한 역시에서 ★ ~ 도 ★ 라는 말이 사라집니다 그냥 ! ★또한 역시 마찬가지로 ! 이렇게 됩니다
그래서 🙍♀️I am happy ! Also 🙍♀️I am lazy ! 의 화자 주어도 🙍♀️🙍♀️2 사람이 등장합니다 그리고 🙍♀️🙍♀️also 나타납니다
🙍♀️행복하고 게으른 화자 주어가 동일인물이기 때문에🙍♀️ 내가 행복하고 또한 역시 🙍♀️나 도 게으르죠 ! 이렇게
also 를 말하는 동일인물이 🙍♀️자신을 🙍♀️나도 ! 라고 말하지 않는 것 같아요 ! 그래서
also 의 해석 ★ ~ 도 또한 역시에서 ★ ~ 도 ★ 라는 말이 사라집니다
also 를 말하는 동일인물이 아닌 Tom likes apples, and David also likes apples. 에서는
🙍🏼♂️톰은 사과를 좋아하고 🙍데이비드 도 또한 역시 마찬가지로 사과를 좋아 합니다 ! 이렇게 also 의 해석에
★ ~ 도 또한 역시에서 ★ ~ 도 ★ 라는 말이 나타 납니다 ! 즉 🙍🏼♂️🙍동일인물이 아닌 🙍🏼♂️🙍두사람이 also 로 말하여지면
🙍🏼♂️🙍동일인물이 아닌 🙍🏼♂️🙍두사람을 어떤 행위 ? 동일시 하려는 것 같고 이러한 ★동일시 현상이 벌어지는 ★상황은
also 문장 이거나 아니거나 ★~ 도 또한 역시 마친가지로 ! 라는 말을 하게 하고 또 영어를 그렇게 해석하는 ★상황 현상이 생기나 봅니다
이미 ★동일시 현상이 생겨져 있는 🙍♀️I am happy ! Also 🙍♀️I am lazy ! 에서는
🙍♀️I am happy ! Also 🙍♀️I am lazy ! 에서는🙍♀️ 나는 행복해요 🙍♀️나 ★ 도 또한 역시 마찬가지로 게을러요 !
★ ~ 도 ★ 라는 말이 사라집니다
그래서 동일시 하는 현상 ? 이 also 문장에서 보여지고 있는 데 🙍♀️I am happy ! Also 🙍♀️I am lazy ! 에서는
🙍♀️나는 행복해요 또한 🙍♀️나는 게으르기 ★도 해요 ! 에서 happy 와 lazy 에서 동일시 현상이 나타난다 하겠어요 !
말하자면 화자가 🙍♀️행복하기 ★도 하고 🙍♀️역시 마찬가지로 또한 🙍♀️게으르기 ★도 하다는 것이
🙍♀️I am happy ! ★Also 🙍♀️I am lazy ! 말하여진다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문법에 맞거나 말거나 !
서로 다른 이질적인 것을 같게 만들려는 동기화 ! 동질화 ! 동일시화 ! 라는 것이 ★~ 도 라는 한국어 또는
영어에 대한 한국어 해석에서 나타나나 봐요
그래서 also 에 대한 해석을 한국어로 ~ 도 또한 역시 마친가지로 ! 하는 것이 당연하고 해야 하지만
이것은 also 라는 언어를 해석이 하는 것이 아닌 also 가 사용하여지는 상황이 ~ 도 또한 역시 마친가지 라는 상황임을 의미 합니다 !
원어민 also 를 addition 이나 too 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 addition 이나 too 라는 상황에서 also 가 사용하여졌습니다 ! 라고 말하는 것이고
addition 이나 too 라는 상황이 역시나 마친가지로 앞서 말한 것에 서로 다른 이질적인 것을 같게 만들려는 동기화 ! 동질화 ! 동일시화 ! 하려는
상황 ! ★~ 도 또한 역시 마친가지로 ! 하는 이라는 것이죠 !
결국 also 에 대한 뜻을 말하지 않고 also 의 뜻을 also 가 말하여지는 ★~ 도 또한 역시 마친가지로 ! 라는 상황으로
돌려막기를 하고 있다고 할 수 있어요 !
🙍♀️I am happy ! Also 🙍♀️I am lazy ! 🙍♀️ 나는 행복 해요 🙍♀️나는 ★또한 역시 마찬가지로 게으르죠 !
also 는 all 의 뜻 so 의 뜻이 합쳐진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
also 의 뜻을 also 가 말하여지는 ★~ 도 또한 역시 마친가지로 ! 라는 상황으로 돌려막기를 한다는 것은
그런 상황에서 also 를 말한다는 상황인식을 하지만 그런 상황에서 정작 화자 자신 왜 also 를 말하는지 그 이유는
당신이 원어민 되어서 알아 보세요 ! 라는 것이니까 ! 음모론이나 한번하고 마음을 달래 봅니다 !
all ( 사람 사물 제반 ) ( 전부 다 동일한 하나의 양상 ) ( 존재 ) ( 사람 사물 일체 ) ( 존재 ) ( 양상 )
all ( 사람 사물 각반 ) ( 각기 모두 상이 하지 않은 양상 ) ( 존재 ) ( 사람 사물 일절 ) ( 존재 ) ( 행위 )
so (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 ) ( 상대적 자가모순 )
so ( 물아일체 이심전심 ) ( 상대적 자가당착 )
🙍♀️I am happy ! Also 🙍♀️I am lazy !
🙍♀️나는 행복해요 🙍♀️나는 행복한데 🙍♀️나는 행복하기만 한 것은 아니어야 합니다
만약 화자가 🙍♀️나는 행복해요 ! 그게 끝이야 ! 그러면은 also 말은 필요가 없어요 !
화자가 행복합니다 ! 그런데 화자가 ★🙍♀️행복 하기만 한 것이 아니고 화자 자신이 ★🙍♀️게으르기도 한 상황이 존재하여지는 것입니다
화자 🙍♀️한 사람에 의하여 ★행복하다는 양상과 ★게으르다는 양상이 또 발생하여지는 것입니다
그냥 내가 ★행복하기만 하면 되는 데 ! 아니 또 내가 ★게으르다는 것입니다 !
그러면🙍♀️ I am happy 🙍♀️I am lazy 이런 상황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 I am happy 🙍♀️I am lazy 라는 🙍♀️🙍♀️★ 사람 ★ happy ★ lazy 사물 제반에 의하여
내가 행복이 좀 덜하고 게으름이 더 많아 ! 내가 아주 행복하고 약간 좀 게을러 ! 아니 게으르지 않을 지도 몰라 !
어느 하나를 긍정하고 어느 하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닌 둘다 모두★ 전부다 화자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동일한 ★하나의 양상으로서 존재하여지는 happy 와 lazy ★행복과 게으름으로서
★행복과 게으름 ★전부 다 일체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내가 🙍♀️ I am happy 🙍♀️I am lazy 하여지므로
🙍♀️ I am happy and 🙍♀️I am also lazy ! 표현하여질 수 있습니다 문법에 맞거나 말거나
🙍♀️ I am happy 🙍♀️ also🙍♀️I am lazy ! 입니다
그래서 해석이 나는 🙍♀️행복하기도 하고 나는 🙍♀️게으르기도 해요 ! 라고 말하면 ( 또한 이라는 상황이 생깁니다 )
🙍♀️나는 행복하기만 한 것이 아니고 🙍♀️나는 게으르기만 한 것이 아니다
화자는 자신의 행복과 게으름이 화자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서로 다른 이질적인 것이 아니고 동기화 ! 동질화 ! 동일시화 ! 하려는 듯 합니다
그래서 화자는 🙍♀️나는 행복하기만 한 것이 아니고 🙍♀️나는 게으르기만 한 것이 아니고
★행복과 게으름 all ! 전부 다 모두 일절 일체에 의하여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
I am 내가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에요 ! 라는 것은 상황적으로
나는 🙍♀️행복하기도 하고 또한 역시 나는🙍♀️게으르기도 하다 ! 라는 상황입니다
이것은 나는 ★행복과 게으름 all ! ★ 전부 다 모두 일절 일체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에요 !
🙍♀️ I am happy + 🙍♀️I am lazy = 🙍♀️I am all happ and lazy ! 으로 볼 수 있어요 ! 문법에 맞거나 말거나 !
그리고 화자는 so 를 말 안했네 ! so 를 말해야겠다 ! all 과 so 를 따로 따로 말하려니까 ! 문법을 모르겠다 !
모르겠다 ! 에라 모르겠다 all + so = also ! 하고 한번 말해보자 하고서
🙍♀️ I am happy 🙍♀️ and 🙍♀️I am also lazy ! 문법으로 also 를 말하나 봐요 !
🙍♀️ and 있거나 말거나 문법에 맞거나 말거나 ! 어쨌든 이거는 🙍♀️ I am happy 🙍♀️I am also lazy ! 이거나
🙍♀️ I am happy 🙍♀️also 🙍♀️I am lazy ! 이라 할 수 있어요 !
나는 ★행복과 게으름 all ! ★ 전부 다 모두 일절 일체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에요 !
나는 내가 ★행복과 게으름 all ! ★ 전부 다 모두 일절 일체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에
나는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지고 ★상대적으로 자가모순 하여지 않아요 라는 의미로서 so 가 all 을 만나 also 하고 말하여진다
할 수 있죠 ! 그러면 일단 ★또한 역시 마찬가지 라는 ! 상황적 also 를 말하지 않고 also 를 말하게 되는 심리는
내가 행복하기만 한 것이 아니고 내가 게으르기만 한 것이 아니고
나는 내가 행복하고 게으른 양상 ★ 모두 전부 다에 의하여 ★ also ★ 그렇게 그토록 ★ 나는 행복하고 ★ 게으른 양상 이에요 !
🙍♀️ I am happy 🙍♀️also 🙍♀️I am lazy !
난 행복 하기도 하고 게으르기도 하고 ★ 모두 전부 다에 의하여 ★ also ★ 그렇게 그토록 ★ 나는 행복하고 ★ 게으른 양상 이에요 !
하고서 말하여지면 이것은 🙍♀️also 가 말하여지는 상황적 해석으로 🙍♀️나는 행복하고 ★ 또한 역시 ★ 게으르기도 해요 ! 하고서
also 에 대한 상황적 해석이 어김없이 발생하여진다 할 것입니다 !
For a teacher to hit a child is not just morally wrong but also illegal
교사가 아이를 때리는 것은 도덕적으로 잘못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법이기도 합니다
문법에 맞거나 말거나 이렇게 but 으로 접속하고 also 말하여지는 것 같아요
For a teacher to hit a child is not just morally wrong
★but for a teacher to hit a child is ★ also illegal
For a teacher 어떤 하나의 교사를 위하여,
to hit a child 어떤 하나의 어린이를 때리는 것은 just 그냥 morally 도덕적으로
wrong 잘 못하여진 양상으로 그릇된 양상으로
is not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지 않습니다
but ( for a teacher to hit a child is ) also illegal !
but also illegal
for a teacher 어떤 하나의 교사를 위하여,
to hit a child 어떤 하나의 어린이를 때리는 것이 just 그냥 morally 도덕적으로 wrong 잘 못하여진 양상 이지 않은 ★양상
for a teacher 어떤 하나의 교사를 위하여, to hit a child 어떤 하나의 어린이를 때리는 ★양상
★그러나 but ★ 모두 전부 다에 의하여
for a teacher 어떤 하나의 교사를 위하여, to hit a child 어떤 하나의 어린이를 때리는 것은
★ also ★ 그렇게 그토록 ★ 불법적인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 입니다 !
★👉🏼🙍🏼♀️🙍♀️🙍🏻♀️🙍♂️🙍🏼➜ 🙍🏼♂️🙍① ② ③ ④ ⑤ 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