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have come just to help you
난 당신을 도우러 온 것 뿐이야
혹은 이 문장이 ( 난 당신을 도우러 왔을 뿐이야 ) 라고 해석하여 질 수 있겠습나다
번역 해석이야 한국인이 영어를 완벽하게 어떻게 번역하겠어요 하다보면 잘못 오역을 할 수도 있는 거죠 오히려 번역을 어색하지 않고 완벽하게 하는 한국인이 기이하고 기괴한 것입니다
역시 이것도 only 라는 미명하에 just가 실종하여진 번역을 하는 것으로 보아지기도 합니다
상황으로 번역을 하려 하니까 그런 현상이 생기는 것입니다 한국인에게서 잘 생긴다고 봐야죠
문법적으로 몰라서 번역이 어떻게 되는 지 모르겠지만 just의 위치가 to 부정사 바로 앞에 있고
to help you 를 노리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집니다 그러니까 이게 just to help you
(저아스트 투헬프 유 ) 라는 감각으로 귀에 익은 소리로 속삭여지는 것입니다 소리 사운드 입니다
뇌가 (저아스트 투헬프 유 ) 라는 소리 사운드를 기억하고 있는 것입니다
( I have come ) 이라는 소리사운드가 발성하여집니다 ( 난 왔어 )
( 난 온 양상을 실사구시하는 양상이야 ) ( have + pp ) 사운드 입니다
즉 I have just come 이라고 화자가 말하지 않은 점을 발견합니다
I have just come 은 ( 난 왔을 뿐이야 ) ( 난 온 것에 지니지 않아 ) 라고 상황적으로 말하여지죠
( 난 단지 그냥 온 양상으로 실사구하시하는 양상 이야 ) ( 난 단지 그냥 왔어 )
just 가 어디에 가 있나 했더니 just ( to help you ) 하고서 ( to help you )에 들어 붙어
( to help you )을 찝적거리고 있는 것이 발견하여졌습니다 just ( to help you )
( I have come ) ( 난 왔어 )
just ( to help you ) 단지 그냥 ( 당신을 돕는 것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
just ( to help you ) 당신을 돕기만 하는 것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just ( to help you ) 당신을 돕는 것에 지나지 않는 양상으로서
just ( to help you ) 당신을 돕는 것에 불과한 양상으로서
( I have come ) ( 난 왔어 ) 이라고 말하여질 수도 있겠다 그런 생각이 스치는 거죠
물론 상황이겠죠 상황적인 관점과 시각으로 문장을 바라보니까
문장이 상황적인 관점과 시각으로 해석하여집니다 그래서 just ( to help you ) 라는
(저아스트 투헬프 유 ) 소리 사운드 감각을 따라서 녹아나는 just 의 말 뜻이란
그냥 단지 just 당신을 돕는 거에 의하여 to help you하고서
( I have come ) ( 난 왔어 ) 라고 just를 음미하여 볼 수도 있겠습니다
상대방이 나를 보더니 새파랗게 공포에 질려서 기겁을 하고 부들부들 떨고 있습니다
혹시 목숨을 앗아 가려는 암살자가 아닌가 대출 이자를 갚지 않아서 나에게 폭력을 행사하러 온 것은 아닌가 이불 밖이 위험해서 얼른 이불 속으로 도망쳐서 숨어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을 목격한 화자는 상대방이 겁에 질려서 부들부들하면 하면 안되니까
상대방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일행위를 상대방 앞에 자신이 존재하여지는 일행위를
이율배반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게 하지 않기 위한 목적의식에
자가모순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게 하지 않기 위한 목적의식에 입각한 사람
사물 ( to help you ) 에 의하여 존재하여지게 하는 양상으로서
겁에 질려 떨고 있는 상대방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일행위를 그리고
그러한 상대방 앞에 화자 자신이 존재하여지는 일행위를
정반합하여지는 양상 just 단지 그냥 그저 ( to help you ) 에 의하여
존재하여지게 하는 양상으로서
( I have come ) ( 난 왔어 ) 라고
I have come just to help you 라고 말하고 있지 않았나
그런 음모론이 스쳐 지나가는 것일 뿐인 거죠
I am just an ordinary girl
난 그냥 평범한 여자예요
I am just an ordinary woman
난 평범한 여자에 지나지 않아요
난 평범한 여자일 뿐이예요
just 를 only 라는 개념으로 보여지도록 just를 설명하면서
only 라는 개념으로 설명을 하려 합니다 그들이 말이죠 just 가 only 라는 개념을 가진 말은
아니겠지 난 그렇게 기도하며 이불 밖이 무서웠어요 화자가 뇌리에 각인하여진
아이 엠 저아스트 어은 I am just an 이라는 소리 사운드를 지르는 것이 먼저겠죠
상대방이 화자에게 넌 특별한 여자야 비범하고 비상한 여자야 라고 말하는 상황이 먼저 있었던 거죠 I am just an ordinary girl 이라는 상황이 토막나 잘려진 문장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그래서 화자가 스스로 자신에 대하여 스스로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내가 과연 특별한 여자
비범하고 비상한 여자일까 ? 화자는 스스로 아니야 난 보통 평범한 여자야 하고서 스스로를
I am an ordinary girl 이라고 말하고 싶어 했어요
그러나 I am an ordinary girl 이라고 말할 때 사람들이 I am an ordinary girl 이라고 말하지 않고
I am just an ordinary girl 이라고 말했어 그래 나도 원어민답게 just 를 말해야지 그러고는 한 말이
I am just an ordinary girl 이라는 말이죠
상대방이 화자에게 넌 특별한 여자야 비범하고 비상한 여자야 라고 말하는 상황에서
난 특별하지도 비범하지도 비상하지도 않은 여자일 뿐 이야 라고 말하는 것은
상황이 그렇다 는 거죠
상대방이 화자에게 넌 특별한 여자야 비범하고 비상한 여자야 라고 말하는 데
화자가 특별한 여자 비범하고 비상한 여자로서 존재하여지는 상황을 벗어날 수 없도록
화자가 어떤 사람으로서 존재하여지는 양상 상황 일행위를
특별한 여자 비범하고 비상한 여자로서 존재하여지는 상황에다가 한정하여지게하고
제한하여 버리면 화자는 스스로 생각하기에 특별한 여자 비범하고 비상한 여자가 아닌 데
화자는 스스로 어떤 여자로서 존재하여질 수 있는 상황이 막막합니다
그러면 이러한 상황에서 화자는 ( 난 평범한 여자에 지나지 않는다 )
( 난 평범한 여자일 뿐이다 ) 라고 말하는 상황 마음이 생길 수도 있을 것입니다
화자 자신이 존재하여지는 일행위를
( 난 평범한 여자를 지나서 특별 비범 비상한 여자로서 존재하여지지 않는다 )
( 난 평범한 여자에 불과하다 )
특별 비범 비상한 여자가 아니고 내가 존재하여지는 양상은
평범한 여자인것 만에 한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이다 ( 난 평범한 여자일 뿐이다 ) 라고 하는
상황이 발생하여지는 것입니다
I am just an ordinary girl 이라고 말하면 말이죠
특별 비범 비상한 여자가 아닌 데 특별 비범 비상한 여자라고 우기는 상황이 있었다는 것이죠
특별 비범 비상한 여자가 아닌 데 특별 비범 비상한 여자라고 우격다짐을 하는 상황은
( 난 평범한 여자일 뿐이다 ) ( 난 평범한 여자에 불과하다 ) ( 난 평범한 여자에 지나지 않는다 )
라고 하는 상황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 뿐이다 ) ( 불과하다 ) ( 지나지 않는다 ) 라고 just를 설명하는 것은 just 가 말하여지는 상황에다
just를 매몰시켜서 묻어 버리고 just가 사람들에게 발각되지않도록 just 살해에 대한 완전범죄를 꿈꾸는 것인가요 음모론적인 관점에서 보면 그렇다는 이야기예요
화자가 특별 비범 비상한 여자가 아닌 데 화자를 특별 비범 비상한 여자라고 우격다짐을 하는 상황
즉 이것은 상대방이 화자에게 넌 특별한 여자야 비범하고 비상한 여자야 라는 것에
넌 이율배반하여질 수없어 ! 응 내 말을 이해하는 거니 ? 라는 상황이죠
화자가 특별 비범 비상한 여자로서 존재하여진다는 것에
이율배반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게 하지 않기 위한 목적의식에
가슴 죄며 답답해 하던 화자는 스스로 이 상황에 자가모순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지 않기 위하여 화자 스스로를 an ordinary girl 어떤 하나의 평범한 여자로서
존재하여지는 양상이라고 말을 하게 된다는 것인데 just an ordinary girl
넌 특별한 여자야 비범하고 비상한 여자야 라는 것에 정반합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그냥 단지 그저 어떤 하나의 일개적 평범한 여자로서 화자 자신이 존재하여지는 양상을
그냥 단지 그저 어떤 하나의 일개적 평범한 여자 just an ordinary girl
I am just an ordinary girl 이라고 just를 말하게 된다는 음모론 이예요
( 난 그냥 단지 그저 어떤 하나의 일개적 평범한 여자야 )
( I am just an ordinary girl ) 이라고 그냥 단지 그저 just를 말하게 되는 이 상황이
특별한 여자야 비범하고 비상한 여자라는 다수 복수의 상황이 존재하여지는 상황에서
( 뿐이다 ) ( 불과하다 ) ( 지나지 않는다 ) 라는 an ordinary girl 하나의 여자가 존재하여지는
상황으로 장면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그들은 just 를 only 라는 말로서 설명하려 합니다
only 라는 상황 ( 뿐이다 ) ( 불과하다 ) ( 지나지 않는다 ) 라는 상황에 매몰하여져
보이지 않는 just 흔적을 더듬어 보는 그런 이야기였어요

Would you like another drink? 한 잔 더 하실래요?
좋아 하나만 더 OK just one more
( Would you like ) 당신은 좋아하였을 것인가요 ?
( another drink ) 동일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다른 또 하나 drink 마시는 거를
( OK ) ( 부득불 이율배반 하여지게 하지 않는 양상 ) ( 부득불연 적반하장 하여지게 않는 일행위 )
( just ) ( 이율배반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게 하여지게 하지않기 위한 ( 목적의식) 에
( 자가모순 )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게 하지 않기 위한 ( 목적의식에 입각한 사람사물 ) 에 의하여
존재하여지게 하는 양상으로서 ( 정반합 )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게 하는 양상
( one more ) ( 하나 ) ( 더 )
drink 마시는 거가 존재하여지는 일행위가 존재하여지는 집니다
이미 많이 마셨고 배도 부르고 더 이상 마실 수 없는 한계에 도달했습니다
그러나 친구가 동일한 다른 또하나의 마시는 거 ( another drink ) 를 제안 제의 하는 상황입니다
당신은 좋아하였을 것인가요 ? ( Would you like ) ( another drink ) ?
대답하는 사람은 ( another drink ) 를 제안 제의 하는 것을 이율배반 하여지게 하지 않으려는 목적의식이 있습니다
마시는 거 ( another drink ) 를 더 이상 마실 수 없는 한계에 도달하였지만
( another drink ) ? 하는 친구 제안 제의를 거절하기도 좀 그렇습니다
친구 제안 제의를 이율배반 하여지게 하지 않으려는 목적의식 이에 또한 스스로 자가모순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지 않으려 하는 목적의식에 입각하여 지는 사람 그리고 ( 사물 drink 마시는 거 ) 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이미 한계에 도달하여 더 이상 마실 수 없는 ( drink 마시는 거 ) 가
존재하여지지 않던 상황으로 부터 반전하여져 ( just one more ) 하면서 ( drink 마시는 거 )
하나가 더 정반합 양상으로 탄생하여 존재하여지는 것입니다
" 좋아 그냥 단지 하나 더 " 라는 한국어 감각으로 OK, just one more 는 이해하여질 수도 있습니다
just one more 라는 소리 사운드가 조합하여져 저아스트원모어 라는 소리가 들려오는 상황이
( 딱 하나만 더 ) ( 하나만 더 ) ( just one more ) 라고 just를 only의 상황으로 설명하는 것은
just의 실체적 진실을 가리고 ( just one more ) 라고 소리 사운드쳐졌을 때에
사람의 눈 앞에 훤하게 드러는 상황 그 상황이
only 오직 ( drink 마시는 거 ) ( 딱 하나만 더 ) 존재하여지는 상황이 있었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즉 ( just one more )를 ( 딱 하나만 더 ) ( 하나만 더 ) 라고 이해하는 것은
just의 실체적 진실을 드러내지 않고 외면하여진 just 가 말하여진 그 상황에 대한 공허한 이야기 일수 있습니다
( 좋아 그냥 단지 하나 더 ) 라는 생각과 ( 좋아 딱 하나만 더 ) 라는 상황이 합쳐져서
OK, ( just one more ) 라는 말이 말하여진다는 것입니다 음모론적으로는 그렇다는 이야기는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