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no 형용사 There is + no bread B4754

영어 기초 공부 음모론 뇌피셜 2025. 6. 19. 00:31
728x90

 

 

 

 

 

 

no 형용사 This is no bread A196

 

This is no bread

이것은 빵이 아니다 ! 보통 이렇게 해석하여질 수 있습니다

( This is ) 와 ( no bread ) 의 결합으로 볼 수 있고

( no ) 와 ( bread ) 의 결합은 ( no bread ) 로 볼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빵이 아니다 ! 는

( 이것은 ) ( 빵이 ) ( 아니다 ) 로 임의로 분해하여 볼 수 있습니다

재미나니까 또 분해를 하여 봅니다

( 이것은 ) ( 빵이 ) ( 아니다 ) 는

( 이것은 ) ( 빵 ) ( 이다 ) 이다 ! 에 상응 호응하여는 표현으로 보입니다

 

( 이것은 ) ( 빵이 ) ( 아니다 ) 에서 ( 아니다 ) 는

( 이것은 ) ( 빵이 ) ( 아니 ) ( 이다 ) 라고 임의로 분해하여 볼 수 있어요 그러면 이것은 또

( 이것은 ) ( 빵이 ) ( 아니 인 양상) ( 이다 )

(➜ ★ 이것은 ) ( ➜ ★빵이 ) ( ➜★ 아니 인 양상으로 )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 ➜ ★ 다 )

( 이것은 ) ( 빵이 ) ( 아닌 양상으로 )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 ➜ 다 ) 요렇게도 분해가 되는 데 요것은

약식 해석으로 보면

(➜ ★이것은 ) ( ➜ ★빵이 ) ( ➜ ★아니 ) ( ➜★ 다 )

( 이것은 ) ( 빵이 ) ( 아니다 ) 이렇게 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것은

This is no bread

( This ➜ 이것은 ) ( bread ➜ 빵이 ) ( no ➜ 아니 ) ( is ➜ 다 ) 이렇게 되지 말라는 법이 없었죠

( 이것은 ) ( 빵이 ) ( 아니다 ) 라는 한국어 말하기 방식의 문장 구조에다가

This is no bread ! 라는 영어 말하기 방식의 문장 구조를 집어 넣어서

( This ➜ 이것은 ) ( bread ➜ 빵이 ) ( no ➜ 아니 ) ( is ➜ 다 ) 이렇게 될수도 있습니다

 

This is no bread !

① 이것은 빵이 ➜ 아니 ➜ 다

② 이것은 빵이 ➜ 아닌 양상 ➜ 이야

③ 이것은 빵이 ➜ 아닌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④ 이것은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지 ➜ 아니하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⑤ 이것은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지 ➜ 않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⑥ 이것은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는 양상이 ➜ 긍정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지 ➜ 아니하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⑦ 이것은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게 하는 양상을 ➜ 긍정 하여지게 하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게 하는 양상을

➜ 존재 하여지게 아니하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⑧ 이것은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게 하는 양상을 ➜ 긍정 하여지게 하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게 하는 양상을

➜ 존재 하여지게 아니하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 빵으로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⑨ 이것은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는 양상이 ➜ 긍정 하여지지 않는 양상에 의하여 ➜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

 

This is no bread !

① 이것은 빵이 ➜ 아니 ➜ 다

이것이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는 것이 ➜긍정하여지는 양상을

이것이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는 것을 ➜긍정하여지게 하는 양상을

➜부정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게 하는 양상을 ➜존재 하여지게 한다 ➜할 수 있어요

★이것은 ➜ 빵이 아닌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 빵으로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

★이것은 ➜ 빵이 아닌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 빵 ➜ 이야 !

★ 요렇게 생각하여지면 또 오히려 역효과를 발생시켜 no 에 대한 이해가 헷갈릴수 가 있기도 합ㄴ다

 

This is bread ! 이것은 빵 이야 ! 라는 것에서

This is no bread ! 이것은 빵이 아닌 빵 이야 ! 라고 말하여지는 상황이 상황적으로 있을 수 있을 것같아 보입니다

빵이 아닌 빵 이 ➜ 긍정 하여지고 ➜ 존재 하여지고 있어야

빵이 아닌 빵 이 ➜ 긍정 하여지지 않고 ➜ 존재 하여지지 않고 있다면

빵이 아닌 빵 을 ➜  no bread ! 라 말할 수가 없게 된다 보아집니다

 

Isn't this bread ? 이것은 빵이지 않나요 ?

That is no bread ! 그것은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지 않는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

That is no bread ! 그것은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지 않는 양상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

That is no bread ! 그것은 ➜ 빵이 아닌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에요

 

That is not bread ! 그것은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는 양상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지 않아요 !

That is not bread ! 그것은➜  빵으로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 이지 않아요 !

That is not bread ! 그것은➜  빵 ➜ 이지 않아요 !

 

no bread ! 빵이 아닌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not bread ! 빵으로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 이지 않는 양상

 

 

👉🏼🙍🏼‍♀️🙍‍♀️🙍🏻‍♀️🙍‍♂️🙍🏼🙍🏼‍♂️🙍① ②  ③ ④ ⑤ ⑥⑦⑧⑨ 👈🏼 ⓐ ⓑ ⓒ ⓓⓔⓕⓖⓗ

 

 

 

 

no 형용사 There is + no bread B4754

 

There is no bread in the bakery

There is no bread at the bakery

There is no bread at the dining table

There is no bread on the dining table

 

no 한정형용사 한정사 determiner

명사 bread 를 ➜ 한정 제한 수식 하여 ➜ no bread !

브레드는 브레드인데 " 노 브레드 " ➜ no bread !

 

존재 하여지는 것이 긍정 하여지는 빵 ➜ bread !

➜ 존재 하여지는 것이 ➜ 긍정 하여지지 않는 빵 ➜ no bread !

➜ 존재 하여지는 것이 ➜ 긍정 하여지지 않는 양상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빵 ➜ no bread !

 

There is no bread at the dining table !

There ➜ 거기에

at the dining table ➜ 식사하는 양상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그 탁자 테이블 에

no bread ! ➜ 존재 하여지는 것이 ➜ 긍정 하여지는 양상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 않 는 빵 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is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에요

 

There is no bread at the dining table !

식탁 에 빵이 없 어 요

식탁 에 빵이 있 어 요

There is bread at the dining table !

 

물론 상황적 해석을 하고 또한 간단하고 편리한 약식 해석을 하여야 합니다

약식 해석 ➜ 식탁 에 빵이 없 어 요

약식 해석 ➜ 식탁 에 빵이 있 어 요

 

식탁에 빵 있어 ? 식탁에 빵 없어 ? 라는 표현은 한국인에 의한 한국어 표현으로 볼 수 있어요

식탁에 존재 하여지는 ➜ 빵의 존재 유무를➜ 감각 지각 인지 하는 현상 상황적 어법 표현이 돋보입니다

한국어를 무시하면 안됩니다 아무리 한국어가 약식 해석으로 식탁에 빵 있어 ? 식탁에 빵 없어 ? 라는

빵의 존재 유무를 ➜ 감각 지각 인지 하는 현상 상황적 어법 으로 표현 한다 해도

그렇게 결과적 감각 지각 인지 하는 현상 상황 말투 어법 속에서 느껴지는 무한한 깊이가 있으므로

한국어 어법은 영어 처럼 논리적으로 따박따박 또박또박 따지는 말투 어법이 아닐 수 있겠죠

 

no ➜ 긍정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게 하는 ➜ 양상을

존재 하여지게 하지 않는 양상에 의하여 ➜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게 하는 양상

 

no ➜ 부정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게 하는 ➜ 양상을

존재 하여지게 하는 양상에 의하여 ➜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게 하는 양상

 

그런데 ➜ 영어는 또 영어를 말하는 영어 말하기 방식으로 영어문장이 만들어지고 말하여지니까

한국어 말하기 방식의 한국어 문장이 만들어지는 ➜ 약식 해석 하고는 ➜ 약간 다르게 만들어지는 것일 수가 있기는 합니다

영어 문장에 대한 한국어 약식 해석은 ➜ 약식 해석 이지만

영어 문장을 만들고 기억 하여지게 할 수 있는 ➜ 방식으로의 해석이 또한 필요하기도 하였어요

 

There is no bread at the bakery !

거기에 ➜ 그 빵집 에 ➜ 빵이 ➜ 없어요 !

There is no bread at the bakery !

거기에 ➜ 그 빵집 에 ➜ 빵으로서 존재 하여지지 않는 ➜ 빵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입니다 !

거기에 ➜ 그 빵집 에 ➜ 빵으로서 긍정 하여지지 않는 ➜ 빵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입니다 !

거기에 ➜ 그 빵집 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 없는 ➜ 빵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는 양상 입니다 !

 

bread 라는 명사가 존재 하여짐이 긍정 하여지는 양상 입니다

bread 라는 명사 ➜ 빵이 존재 하여짐이 긍정 하여지는 양상 입니다

➜ 빵이 존재 하여짐이 긍정 하여지는 양상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 빵이

➜ 빵이 존재 하여짐이 ➜ 긍정 하여지는 양상에 의하여 ➜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게 하는 ➜ 양상을

➜ 존재 하여지게 하지 않는 양상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게 하는 양상으로

bread 라는 명사 ➜ 빵이 존재 하여짐이 ➜ 긍정 하여지는 양상을

➜ 부정하여지는 양상으로 ➜ 존재 하여지게 하는 양상을 ➜ 존재 하여지게 하고 있으므로

bread 라는 명사 ➜ 빵이 ! no bread ! 라는 표현으로 말하여지고 있다 할 것입니다

 

그래서 이 한정 형용사로서의 no를 not one ! not any ! not any 라는 개념으로 설명을 하는 데

그것은 오히려 no의 말뜻 개념을 더더욱 알지 못하도록 학습자를 no 가 말하여지는 결과적 상황으로 데려가

no 가 말하여지는 결과적 상황에다가 학습자를 내팽개치는 결과를 유발하게하는 인상을 받습니다

상황적 약식해석과 no 가 말하여지는 결과적 상황에 대하여 학습하는 것은 나쁘지 않지만

언어를 느끼고 이해하고 학습하는 좋음에서 멀어지게 하는 그러한 마법의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① There is no bread at the bakery !

② There is not any bread in the bakery !

① ② 빵이 없다는 것은 결과론적으로 같은 것이지만

is not any bread 는 is no bread 라는 말이 아니고 그 의미도 다르다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① There is no bread at the bakery ! = ② There is not any bread in the bakery ! 라는 것은

결과로서 빵이 없다 존재 하여지지 않는다 는 무늬만 같은 결과적 표현으로서 같지만

no 는 any 가 아니겠죠

원어민 화자의 마음 속에 생각하여지는 no 라는 의미와 any 라는 의미는 별도로 별개로 저장하여져 있을 지도 모르는 것입니다

 

 

 

👉🏼🙍🏼‍♀️🙍‍♀️🙍🏻‍♀️🙍‍♂️🙍🏼🙍🏼‍♂️🙍① ② ③ ④ ⑤ 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