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so 형용사 부사 ( so 뜻 용법 상황 ) so happy to see you

영어 기초 공부 음모론 뇌피셜 2023. 11. 26. 04:21
728x90

 

 

 

I am so sorry ( so 부사 뜻 용법 상황 )

 

👨🏻Why did you eat my chicken?👨🏻왜 내 치킨을 먹었어요?

👩‍🦰I am so sorry👩‍🦰정말 미안해요 라고

so를 정말 이라는 한국어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 하다고 보아집니다

역시 영어사전에는 강조를 하는 so로서 이 경우의 so를

very 라는 개념으로 설명하여지고 있을 것입니다

한편 그러면서도 음모론 뇌피셜로 보아지는 이 경우의 so를

난 ( 그렇게 그토록 sorry 미안한 양상으로 ) ( 존재하여지는 양상이야 )

I am so sorry 라고 이해하여 볼 수 있습니다

👩‍🦰화자가 ( 미안한 양상으로 ) 존재하여지는 경우에

👩‍🦰정말 미안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진다고 👩‍🦰so sorry 하는 것인지

👩‍🦰그렇게 그토록 미안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진다고 👩‍🦰so sorry 하는 것인지

👩‍🦰정말 그렇게 그토록 미안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진다고 👩‍🦰so sorry 하는 것인지

알길이 없습니다

👩‍🦰I am so sorry 를👩‍🦰정말 미안해요 라고 번역하여

so를 👩‍🦰정말 이라는 한국말로 이해하게끔 만들고 있다는 느낌은 지울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한국인 누구라도 👩‍🦰I am so sorry를 👩‍🦰정말 미안해요 라고 번역하고

so를 👩‍🦰정말 이라는 한국말로 이해하는 것이지만

👩‍🦰정말 이라는 한국어로 이해하여지는 so가 영어 so인가 ?

👩‍🦰정말 = so =그렇게 = 그토록 ? 👩‍🦰 이런 쓸데없는 의구심을 버리지 못하고

음모론 뇌피셜을 하는 데

👩‍🦰 화자는 상대방의 치킨을 먹은 것에 대하여

sorry한 양상 👩‍🦰미안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데

👩‍🦰 화자 자신이

👩‍🦰미안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에

👩‍🦰 화자 자신이 물심양면 일체동체 동조하여서

👩‍🦰미안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이다 라고

👩‍🦰I am so sorry 라고 말하였을

so의 심리적 발화 의미를 가스라이팅 하고 있었다고 보아 집니다

 

 

👨🏻👩‍🦰

 

 

So did we ( so 부사 뜻 용법 상황 )

So did we ( so 부사 뜻 용법 상황 )

👩‍🦰“We ordered pizza” 👩“So did we”

👩‍🦰“우리는 피자를 주문했어요” 👩“우리도 그랬어요”

 

먼저 말하여지는 사람이

👩‍🦰“우리는 피자를 주문했어요” 👩‍🦰“We ordered pizza” 라고 말을 하고

이어서 화답하여 말하는 사람이

먼저 앞서 말한 사람의 내용과

"in the same way" or "in a similar way" 으로 말하기 때문에

👩“우리도 그랬어요”👩“So did we”

( So ) + ( 조동사 ) + ( 주어 we ) 의 형식이나

( So ) + ( 동사 "do" "have " "be" ) + ( 주어 we ) 의 형식으로

So를 부사적으로 말한다는 문법적 설명 입니다

 

그렇거나 말거나 음모론 뇌피셜은 하여져야 했습니다

👩‍🦰“우리는 피자를 주문했어요” 👩“우리도 그랬어요”

👩‍🦰“We ordered pizza” 👩“So did we”

 

👩“So did we” 는 ( So ) + ( did ) + ( we ) 입니다

👩‍🦰“We ordered pizza” 는 ( We ) + ( ordered ) + ( pizza ) 입니다

( We ) + ( ordered ) + ( pizza ) 는

👩 ( 우리 + 은/는/이/가 ) + ( 주문했다 ) + ( 피자 ) 입니다

👩( 우리 는/가 ) ( 어찌했다 ) 라고

👩( 주어 ) ( 동사 )

👩( 사람 ) 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 일행위) 를 말합니다

그리고 뭘 주문했는 데 ? 하고 따지면은

( We ) + ( ordered ) 👩( 주어 ) ( 동사 ) 의 목적어 ( pizza )

👩( 사람 ) 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 일행위)

( We ) + ( ordered ) 하는 일행위가

( pizza ) 에 의하여 ( ordered ) 하여졌다고 말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우리는 피자를 주문했어요” 라는 어순이 살짝 바뀌는

👩‍🦰“We ordered pizza” 라는 영어가 탄생하여집니다

말을 해도 곱게 못하고 어순을 비비 꼬아서

한국사람이 잘 알아 듣지 못하는 방식으로 영어를 말하는 것입니다

 

👩“So did we” 도 역시 어순이 비비 꼬여져

👩( 부사 ) ( 동사 ) ( 주어 ) 👩( So ) ( did ) ( we ) 형식으로 꼬여진 것입니다

👩( So ) ( did ) ( we ) 한국말로 👩“우리도 그랬어요” 라고 이해하면 되십니다

 

어떤 사람이 👩‍🦰“We ordered pizza” 라고 말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 👩‍🦰“We ordered pizza” 라고 말은

듣는 상황에 따라서

👩‍🦰"우리는 피자를 주문했어요 " 👩‍🦰"우리가 피자를 주문했어요 "

👩‍🦰우리 는 👩‍🦰우리 느은~ 👩‍🦰할 때의 느은~ 은 마치

👩‍🦰♬우리 느은~ ♬풀잎 ~ 싸아라앙 ~ 하는 듯이 들리기도 하는 데

( 주격조사 은는이가 )

👩‍🦰우리 느은~은 피자를 주문하는 사람으로서

존재하여지는 👩‍🦰사람 주어가

다른 사람과 차별 구별하여져

👩‍🦰We 👩‍🦰우리 라는 사람에 한정하여지고 제한 하여지는 느낌이 있습니다

반면 👩‍🦰"우리가 피자를 주문했어요 " 라는

( 주격조사 은는이가 ) 👩‍🦰우리가 👩‍🦰우리 가아 ~ 는

피자를 주문하는 사람으로서

👩‍🦰We 👩‍🦰우리 라는 사람을 과시하고 추켜세우는 듯한 느낌의

👩‍🦰우리 가아 ~ 라고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에 질세라 맞장구 치고 말하기를

👩“우리도 그랬어요” 👩( So ) ( did ) ( we ) 라고 말합니다

앞서 발생하여진 👩‍🦰“We ordered pizza” 라는 행위에

👩( So )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서 )

👩 ( 피자 주문하는 행위를 )

👩 ( did ) 👩( 자발적으로 자가 발현하여지게 한 양상 )

👩 ( we ) 👩 ( 우리 도오 ) ( 우리가아 )

 

👩( So ) ( did ) ( we )

너네들이 피자를 주문하는 일행위를 하였다고 하는 데

👩( 우리 도오 ) 👩 ( 우리가아 )

너네들이 피자를 주문하는 일행위를 한 ( 것 과 같이 )

( 그와 같이 ) ( 그러한 양상으로 )

너네들이 피자를 주문하는 일행위를 한 양상에

👩( So )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지는 양상으로 )

👩( 우리 도오 ) 👩 ( 우리가아 )

( 피자를 주문하는 일행위를)

👩 ( did ) 👩( 자발적으로 자가 발현하여지게 한 양상 ) 이야

👩( 우리 도오 ) 👩 ( 우리가아 ) 말이야

👩( So ) ( did ) ( we )

앞서 발생하여진 어떤 행위에

👩( So )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지는 양상으로 )

👩( So ) 👩(이심전심 물아일체 동화하여지는 양상으로 )

( 피자 주문하는 행위 )👩 ( did ) 👩( 자발적으로 자가 발현하여지게 한 양상 ) 으로

존재하여지는 사람 주체 주어 ( we )

👩( 우리 도오 ) 👩 ( 우리가아 ) 말이야 하고서

말하여지는 말이 비비 꼬이는

👩( So ) ( did ) ( we )

앞서 발생하여진 행위에👩‍🦰“We ordered pizza” 라는 행위에

이율배반 자가모순 하여지지 않는 목적의식으로

적반하장 자가당착 하여지지 않는 강박의식으로

👩( So ) ( did ) ( we )

( we )👩( 우리 도오 ) 👩 ( 우리가아 )

( So ) ( 그렇게 ) ( 그러한 양상으로 )

( 피자 주문하는 행위 ) ( did ) ( 자가발현 하여지게 하였어 )

 

👩‍🦰👩

 

 

so beautiful ( so 뜻 용법 상황)

 

지는 해를 바라보며

저 일몰은 정말 너무 아름다워 하고서

That sunset is so beautiful 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지는 해를 바라보며

저 일몰은 그렇게 그토록 아름다워 하고서

That sunset is so beautiful 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so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관점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보아 집니다

so를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하는 가 하는 것은

침해하지 않는 은밀한 개인의 사생활 영역 입니다

 

The sunset is so beautiful

정관사 The 얘는 자꾸 또 나옵니다

실질적인 sunset 으로서

구체적으로 명확한 양상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sunset은

The sunset 이라고 말해보고

( The ) ( sunset ) ( 그 ) 일몰은

말하는 사람 화자가 말하면서

그 sunset 이 beautiful 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에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서

sunset 이 beautiful 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이라고

The sunset is so beautiful 이라고 말하여 줍니다

 

That sunset is so beautiful

That 얘는 이따금 또 나옵니다

듣는 사람 청자에 의하여

주도적으로 관할 지배하여지게 하기 위한

목적의식에 입각한 sunset 으로서

지목하여지는 양상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sunset은

That sunset 이라고 말해보고

( The ) ( sunset ) ( 저 ) 일몰은

말하는 사람 화자가 말하면서

sunset 이 beautiful 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에

이심전심 물아일체 동화하여서

저 sunset 이 beautiful 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이라고

The sunset is so beautiful 이라고 말하여 줍니다

 

물론 음모론과 뇌피셜로 말하여주는 것입니다

 

so 뜻 용법 부사 상황 so dark 소닭

 

so 뜻 용법 부사 상황 so dark 소닭`

👩‍🦰It's so hard to live these days

요새 요즘 these days

( 이러한 날들 ) ( 이들 날들 ) 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It ( 그것이 존재하여지는 양상이 )

to live (사는 것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so 그렇게 그토록 hard 단단한 경직된 굳은 어려운

hard 한 양상으로

is 존재하여지는 양상 입니다

 

👩‍🦰Isn't it so dark for you to see me?

나를 ( 보는 것 ) 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for you to see me 당신을 위하여 존재여지는 양상으로서

It ( 그것이 존재하여지는 양상이 )

so 그렇게 그토록 dark 어두운 양상으로

Is not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지 않나요?

 

👩‍🦰Isn't it so dark ?

( 그것이 ) 너무 어두운 양상이지 않나요?

( so 를 너무) 라고 번역하실 수 있습니다

( 너무 어두운) 👩‍🦰( so dark )

( so 를 그렇게 그토록) 으로 번역하는 것도 가능 하십니다

( 그렇게 그토록 어두운) 👩‍🦰( so dark )

( It 그것 ) 밝고 어두움

( It 밝고 어두움이 존재하여지는 일행위 ) ( 그것이 It )

( It 밝음 어두움이 존재하여지는 양상 ) ( 그것이 It )

( 그렇게 그토록 어두운) 양상으로👩‍🦰( so dark )

존재하여지는 양상이지 않나요 ?

👩‍🦰Isn't it so dark

for you ( to see me ) ?

날 ( 시각적으로 ) 지각하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 당신을 위하여서) 말이예요 ?

그래서 so dark 을 ( 너무 어두운)으로 이해하는 것과

( 그렇게 그토록 어두운) 으로이해하는 것에는

의미상의 차이가 생겨나고 있다고 보아 집니다

( It 밝고 어두움이 존재하여지는 일행위 ) ( 그것이 It )

이율배반 자가모순 하여지지 않기 위한

목적의식식에 입각한 사람 사물

밝고 어두운 양상 정도 상황에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

( It 밝고 어두운 양상이 존재하여지는 양상 ) ( 그것이 It )

👩‍🦰 dark ( 어두운 양상) 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라는 것을

👩‍🦰화자는 so dark 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집니다

👩‍🦰 dark ( 어두운 양상) 이

👩‍🦰 dark ( 어두운 양상) 에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

👩‍🦰 dark ( 어두운 양상) 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을

👩‍🦰화자가 so dark 으로 표현하였을 가능성을

음모론적으로 뇌피셜하여 보는 것입니다

 

👩‍🦰

 

 

so 부사 뜻 용법 상황 so tired

 

so 부사 뜻 용법 상황 so tired

👩‍🦰I am so tired

👩‍🦰Don't look so angry

👩‍🦰Don't look so angry at me

 

👩‍🦰I am so tired 라는 영어를

👩‍🦰난 ( 정말 엄청 무척 매우) 피곤해요 라고 이해할 수 있으십니다

또한 👩‍🦰난 ( 그렇게 그토록 ) 피곤해요 라고 이해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보아집니다

또한 👩‍🦰난 ( 내가 피곤한 양상에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지는 양상으로 ) 피곤해요 라고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으십니다

 

화자는 왜 👩‍🦰I am so tired 라고 말하는지 그 원리

화자의 마음 말하는 태도를 살펴보고 so를 학습하여 보는 것이기도 합니다

문법적으로 모르겠습니다 so가 adverb 부사로서 쓰이는 것입니다

그런데 흔히 한국인의 관점으로 보면

so tired 에 시선을 빼앗깁니다 그것은

한국어 사고방식으로 영어를 바라보는 것입니다

so tired 에 마음을 뺏기고

( so 정말 tired 피곤하다) ( so 엄청 tired 피곤하다)

( so 무척 tired 피곤하다) ( so 매우 tired 피곤하다)

그러므로 ( 정말 피곤하다 so tired) ( 엄청 피곤하다 so tired)

( 무척 피곤하다 so tired) ( 매우피곤하다 so tired) 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so 가 형용사 tired 를 건드린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맞습니다 so 가 형용사 tired 를 건드리든지

so 가 adverb 로서 be 동사를 건드리든지

아니면 am tired 자체를 건드리든지

아무거나 건드리면 된다고 보아집니다

어쨌거나 👩‍🦰I am so tired 라는 문장의 구조를 익히고

통째로 암기하는 것이 오히려 현실적으로 괜찮은 것입니다

통째로 암기하기 위하여 문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보이집니다

👩‍🦰I am tired 화자는 자신이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일행위에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다 라고 말하므로

👩‍🦰화자는 자신이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일행위는 I am tired 라고 표현 하여 집니다

즉 그러니까

👩‍🦰화자 자신이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일행위 (동사)를 so라는 부사로서 수식하고 꾸며주는 형식이

be동사 뒤에 tired 형용사 앞에 👩‍🦰I am ( so ) tired 라는 문장구조형식으로

표현하여지는 것으로 보아 집니다

👩‍🦰I am tired 가 부사( so ) 의 수식을 받아서

갈곳 없는 so가 적당히 찾아 간 곳은 be 동사외 tired 형용사 사이에 들어간

문장구조 👩‍🦰I am ( so ) tired 가 되는 것입니다

 

👩‍🦰화자는 어떤 원인 이유로 인하여

몸이 자꾸 지치고 피로하고 피곤하여집니다

그래서 👩‍🦰화자는

👩‍🦰화자 자신이 존재하여지는 일행위를

👩‍🦰화자 자신에게

👩‍🦰이율배반 하여지게 하지 않을려고 합니다

그리고 👩‍🦰화자 자신이 존재하여지는 일행위를

👩‍🦰화자 자신 스스로에게

👩‍🦰자가모순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게 하지 않기 위한 목적의식에 입각한

👩‍🦰화자 자신이

어떤 원인 이유로 인하여

몸이 자꾸 tired지치고 tired피로하고

tired 피곤하여지는 tired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에

👩‍🦰I am tired 하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에

👩‍🦰화자가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에

👩‍🦰화자 스스로 👩‍🦰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져서( so )

👩‍🦰내가 존재하여지는 일행위가 말이야

👩‍🦰내가 존재하여지는 양상이 말이야

그렇게 그토록 ( so )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야 하고서

👩‍🦰I am ( so ) tired 라고 말할 가능성을

미리 음모론적 뇌피셜로 선행학습하여 보는 것입니다

 

👩‍🦰

 

 

so 형용사 부사 ( so 뜻 용법 상황 ) so happy to see you

 

so 형용사 부사 ( so 뜻 용법 상황 ) so happy to see you

👨🏻Aren't you happy to see me?

👩‍🦰Yes, I am so happy to see you

 

아닙니다 난 so에 대하여 모릅니다

이것은 음모론 뇌피셜로 so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에 지니지 않습니다

반복하는 것입니다 음모론 뇌피셜이지만

👩‍🦰음모론 뇌피셜은 👩‍🦰음모론 뇌피셜다워야 합니다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것은

뒤로 물러서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so에 대해 알려고 하면

so에 대하여 모르고 있는 것이 so가 뭔지 알게 하여준다고 믿기 때문에

so에 대하여 모르고 있습니다

( 👨🏻Aren't you happy)  ( to see)  me?

👨🏻( 행복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지 않나요 ?)

👨🏻( 행복한 양상이지 않나요 ?)

👨🏻( 행복하지 않으세요 ?)

👨🏻 ( to see ) me?

👨🏻나를 ( 보는 것 ) 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나를 ( 보는 것 ) 이

👨🏻( 행복하지 않으세요 ?)

( 👨🏻Aren't you happy) ( to see) me?

 

👩‍🦰Yes, ( I am so happy)  (to see ) you

영어 사전 문법적으로 so 부사

매우 극도로 라는 뜻으로 설명하여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곰곰히 생각하여보면 영어사전에서 말하는 so의 뜻이란

화자의 마음속 무의식에서 말하여지는 so의 뜻이 아닐 것이었습니다

이것을 깨닫고서 so를 부사적으로 아주 엄청 정말 매우라고

설명하고 있는 영어사전은

화자의 마음속 무의식에서 말하여지는 so의 뜻이 아닌

화자의 마음속 무의식에서 말하여져버린 so의 👩‍🦰뜻이

입밖으로 말하여져버린 👩‍🦰그 상황이

아주 엄청 정말 매우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결국 화자가 so를 말했는 데

화자의 마음속 무의식에서 말하여지는 so의 뜻이 아닌

화자에게서 so가 말하여져버린 👩‍🦰그 상황을

문법적으로 의식적으로 분석하여 보니까

아주 엄청 정말 매우라는 👩‍🦰상황이었다는 것입니다

so가 어떤 일행위가 존재하여지는

아주 엄청 정말 매우라는 👩‍🦰상황에서

부사적으로 쓰인다는 것을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었습니다

아주 엄청 정말 매우라는 👩‍🦰상황에서

so가 말하여진다는 것을

한국어 관점에서 보면

so를 한국어 아주 엄청 정말 매우라는 말로서 이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한국인은 어차피 so를 부사적으로

엄청 정말 매우라는 말로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고 보아 집니다

👩‍🦰Yes, ( I am so happy) (to see ) you

음모론 뇌피셜로는 so를

이율배반 자가모순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지는 양상을

적반하장 자가당착 이심전심 물아일체 동화 하여지는 양상을

so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to see ) you

👩‍🦰당신을 ( 만나는 것 ) 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 ( I am so happy)

👩‍🦰 ( I am happy) ( 난 행복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에 )

so 👩‍🦰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지는

happy( 행복한 양상으로)

I am 👩‍🦰난 (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예요

 

상대방을 만나서

상대방을 만나는 것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화자는 👩‍🦰( 아주 엄청 정말 매우 행복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상황이 👩‍🦰화자에게서 발생하여진다고 보아집니다

상대방을 만나서

👩‍🦰화자는 자신이 👩‍🦰( 아주 엄청 정말 매우 행복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

형용사 happy 를 부사 so 로 때려 수식하는 듯 보아지기도 합니다

 

한국어 사고방식으로 이렇게 말하여질 것입니다

👩‍🦰( 아주 엄청 정말 매우 행복한) 양상 이야 ! so happy !

 

상대방을 보는 것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 아주 엄청 정말 매우 행복한) 👩‍🦰상황이 존재하여지는 양상에

👩‍🦰화자는 스스로 이율배반 자가모순 하여지게 하지 않기 위한

목적의식에 입각한 👩‍🦰화자가

👩‍🦰( 아주 엄청 정말 매우 행복한) 👩‍🦰happy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에 👩‍🦰

👩‍🦰화자는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지는 양상으로

👩‍🦰happy 하다고 말하기 때문에

👩‍🦰 so happy !라고 말할 것으로 보아 집니다

👩‍🦰난 정말 (그렇게 ) (그토록 ) ( 엄청 정말 매우 행복한 )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예요 !

👩‍🦰 ( I am so happy)

👩‍🦰당신을 보는 것에 의하여 존재하여지는 양상으로서 ( 말이예요)

👩‍🦰(to see ) you

 

👩‍🦰 ( I am happy)

👩‍🦰행복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에

 

👩‍🦰 ( so)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지는 양상으로

 

👩‍🦰 ( I am happy)

👩‍🦰행복한 양상으로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다 라는 것을

 

so 👩‍🦰 happy !

👩‍🦰 ( I am so happy)

라고 말할 것으로 보입니다

 

👨🏻👩‍🦰

 

so 형용사 부사 ( so 뜻 용법 상황 ) so happy to see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