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so 부사 A24 so 너무 A-26

영어 기초 공부 음모론 뇌피셜 2025. 5. 8. 05:38
728x90

 

 

 

 

 

 

so 너무 A-26

 

 

so 너무 A-26

 

 

 

I am so tired

내가 존재 하는 일행위

그렇게 그토록

피곤한 양상

 

 

I am so tired 이 문장도 음모론적 관점으로 so 부사 설명하는 방식 이해하는 방식은

아래 so 부사 A24 와 같습니다 만약 so 너무 A26 이것을 읽어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

아래 so 부사 A24를 먼저 읽는 것을 강력 추천합니다

 

① I ② am ③ so ④ tired

이 so 는 so 가 그렇게 그토록 이라는 한국어로 이해 하여지다가 돌연 안면몰수하고 내가 언제 그랬냐 오리발을 나에게 주고서는

나는 한국어로 very 엄청 매우 너무 라는 뜻의 so 야 ! 이거 왜 이래요 ? so 를 뭘로 보는 거예요 하고서 나에게 닭을 주었어요

① I ② am ! 내가 존재 하여지는 일행위 ! ④ tired 피곤한 양상 이야 !

① I 난 ④ tired 피곤한 양상으로 ② am 존재하여지는 양상 이야 ! 난 피곤해 !

 

so 가 정말 매우 엄청 너무 이런 상황의 가면 무도회 마스크 탈을 쓰고

I am so tired ! 말하여지는 이 문장은 설명하기가 약간 난해하기도 해요 ! 하지만 열번 찍으면 나무가 넘어지네 !

자꾸 설명하는 연습도 하면 설명하는 것도 조금 나아집니다 !

노출하여지고 드러난 실체가 숨기고 있는 것을 파헤치고 들추어서 의식과 무의식의 조화를 도모하고 so 를 건드려 봅니다

 

사람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피로 피곤할 수 있습니다

화자는 열심히 모델 활동을 하였으므로 피곤함을 느낍니다 ① I ② am ④ tired 라고 스스로 말하고 생각하고 느낍니다

근데 여기서 음모론적으로 문제가 발생합니다 so 피곤한 정도 수준이 very 한 양상으로 피곤하다 그래서 so tired 하다

so 정말 so 매우 so 엄청 so 너무 피곤하다 ! so tired 하다 ! 하다고서 so 의 말뜻을 설명을 하죠 ! 합니다

그래서 ① I ② am ④ tired 의 ④ tired 한 정도 수준 so 정말 so 매우 so 엄청 so 너무 피곤하다 ! so tired 하다 !

이렇게 so라는 말에 so 정말 so 매우 so 엄청 so 너무 상황의 가면을 씌우고 so 가면 무도회를 so 상황 파티를 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문법적 혹은 사전적으로 so 를 어떤 방식으로 설명하였나요 ?

화자가 무의식적으로 내뱉은 so 라는 말을 🙍‍♀️구조 형식을 결정하는 형식 문법적으로 의식을 하여

화자가 무의식적으로 내뱉은 so 라는 말이 🙍‍♀️화자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내뱉어진

그 ★상황을★ 의식적으로 분석하는 행위를 하는 방식을 설명하였어요

★ 의식적으로 분석하여진 그 상황은 뭔가요 ? so 정말 so 매우 so 엄청 so 너무 라는 상황입니다 !

 

so 가 어떤 일행위가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정도 수준으로 존재 하여지는 상황에서 so 가 말하여졌다 ! 하고서

so 가 말하여진 그 결과적 상황들을 의식적으로 세분화하여 so 가 말하여진 상황들이 어떠한 상황들인가를 사전에 차례로 보여 줍니다

그러니까 ★🙍‍♀️사람이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 정도 수준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상황이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상황이 있다는 것입니다 !

★ so 를 ★정말 매우 엄청 너무 라는 뜻이라 하기 ★ 전에 ! 그렇다는 것이고 그럴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so 와 🙍‍♀️사람이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 정도 수준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상황은

아무런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을 수 있다는 것이죠 !

그러니까 🙍‍♀️사람이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 정도 수준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상황에서

🙍‍♀️ I am very tired ! 혹은 🙍‍♀️I am too tired ! 라고도 말하여질 수 있으므로

🙍‍♀️사람이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 정도 수준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상황에서

I am so tired ! 라고 말하고 🙍‍♀️나는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피곤하다 ! 라고 말하는 것이

so 가 전세를 내었거나 so 의 전매특허도 아니고 so 의 전유물도 아니라 할 수 있죠

사람이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 정도 수준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상황은

so 의 소유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사람이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 정도 수준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상황에서

원어민들이 so 를 왜 말해 ? 그거를 설명해봐 !

so 는 원어민에 의하여 무의식적으로 발화하여지는 so 의 심리적 발화의미를

🙍‍♀️사람이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 정도 수준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상황이라고 말하는

문법적 상황 분석 포장지에 포장 하여져 있을 가능성도 있어요 !

 

I am tired ! 내가 피곤한 🙍‍♀️tired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다 !

🙍‍♀️I am tired ! 그냥 🙍‍♀️나는 피곤하다 ! 라는 단순한 의미의 문장 이지만 !

이게 so 라는 말을 염두에 두고 so 를 의식하면서 so 와 관련지어지질 것이라는 과대망상적으로 보면

🙍‍♀️I am tired ! 는 심리적으로 골때리는 의미의 문장이 된다는 거죠

🙍‍♀️I am tired ! 하다는 것이 긍정이야 ? 부정이야 ? 어느 정도야 ? 많이 피곤해 ? 계속 피곤해 ?상황적으로 복잡한 상황이 된다 이거죠

 

화자는 피곤합니다 🙍‍♀️I am tired ! 근데 화자가 피곤하다는 것이 🙍‍♀️ 화자에게 또 피곤하다고 느껴지고

화자는 🙍‍♀️I am tired ! 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데 🙍‍♀️이상하다 ! 오늘 모델 활동을 너무 무리하게 했나 ?

🙍‍♀️화자가 🙍‍♀️I am tired ! 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데 🙍‍♀️화자가 피곤하다는 것이 🙍‍♀️ 화자에게

중첩 가중하여져서 화자에게 계속 피곤함을 유발하고 🙍‍♀️I am tired ! 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화자는

결국은 내가 🙍‍♀️I am tired ! 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데 내가 🙍‍♀️I am tired ! 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

이렇게 🙍‍♀️tired ! + 🙍‍♀️tired ! +🙍‍♀️ tired ! + 🙍‍♀️tired ! + 🙍‍♀️tired ! 한 양상으로

화자가 tired 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현상 상황에 빠지게 되고 결국 화자는 이 상황에서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 정도 수준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상황이니까

I am so tired ! 라고 말을 하게 되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근데 여기가 so 의 함정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내가 🙍‍♀️I am tired ! 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데

내가 🙍‍♀️I am tired ! 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에

내가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 하여지는 양상으로

내가🙍‍♀️ tired 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이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나에 의하여

🙍‍♀️상대적 자가모순 하여지지 않는 양상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 라고 so 를 심리적으로 발화한다면

화자는 난🙍‍♀️ 내가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에🙍‍♀️상대적 자가모순 하여지지 않는 양상으로

난 내가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에🙍‍♀️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 하여지는 양상으로

🙍‍♀️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 라고 말하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 그러므로

화자는 난 🙍‍♀️그렇게 그토록 🙍‍♀️피곤한 양상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

I am so tired ! 말할 수 있는 데

 

화자 자신이 존재 하여지는 🙍‍♀️일행위가

화자 자신이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에

화자 자신이 존재 하여지는 일🙍‍♀️행위가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

화자가🙍‍♀️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이

화자에게 🙍‍♀️★ 상대적 자가모순 하여지지 않는 양상임을

I am so tired ! 라고 말하여지게 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화자의 무의식적 부사로서의 so 발언은

주어 화자가

어떤 이유 사연으로 인하여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 정도 수준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상황에서

화자가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 정도 수준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상황을 틈타

화자가 의식적으로 인식하여 알아 차리고 있는

화자가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 정도 수준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이🙍‍♀️ 존재 하여지는 상황에

화자가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하여 지는 양상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이

화자에게 🙍‍♀️★ 상대적 자가모순 하여지지 않는 양상임을 I am so tired ! 라고

말하여지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황적으로 노출하여지고 드러난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한 ★ 정도 수준으로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상황을

so 의 뜻이라고 문법은 의식적으로 설명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so 비교 지시하는 언어적 기능을 생각하면

화자는 자신이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을 정신적 심리적 마음으로 속으로 지시를 하며

자신이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이 존재 하여지는 정도 수준 양상을 무의식적으로 비교 하여지게 하는 행위를 하였다고 볼 수 있죠

그래서 I am so tired ! 라는 문장은 하나 이지만 I am so tired ! 라는 문장은

ⓐ I am tired 라는 행위와 ⓑ I am tired 이라는 행위 최소한 ⓐ ⓑ 두 행위가 복합적으로 발생하여지고 있어야

I am so tired ! 라고 말하는 것이 가능하리라 생각하여집니다

그러한 관점은 I am so tired ! 에서의 so 를 ★정말 매우 엄청 너무 라는 상황으로서가 아닌

so 비교 지시하는 언어적 기능 관점에서

🙍‍♀️나는 그렇게 피곤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 이야 ! 해석하여지는 것이 가능하였어요 !

★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피곤하다 ! ★ so tired ! 에서

so 라는 언어의 실체는 ★ 정말 매우 엄청 너무 피곤하다 라는 ★ 상황이라는 느낌을 아직도 받지 못하고 있어요 !

 

 

 

 

👉🏼🙍🏼‍♀️🙍‍♀️🙍🏻‍♀️🙍‍♂️🙍🏼🙍🏼‍♂️🙍① ② ③ ④ ⑤ ⑥👈🏼 ⓐ ⓑ ⓒ ⓓⓔⓕⓖⓗ

 

 

 

 

 

 

 

 

so 부사 A24

 

so 부사 A24

 

 

Don't look so angry

그렇게 화난 양상으로

보는 일행위를 하지 마세요

 

① Do ② not ③ look ④ so ⑥ angry

 

① Do 하다 do 는 하다 로 해석하죠 !

한국어 ★하다의 의미를 생각하면서 영어 ★do 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생각을 합니다

한국어 ★하다 가

영어 ★do 가 영어 ★do 로서 영어라는 문장에서

영어로 말하여지는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말하여질까 ? 를 생각하면 아니다 그렇지 않아

한국어 ★하다 ➜ (자발적으로 자가발현 하여지게 하는 양상 행위 ) ➜ 영어 ★do

 

① Do ② not ③ look

한국어 ★보다 ( ③ look 보는 행위를 ) ( ③ look 육안으로 목도 하여지게 하는 양상 행위 )

한국어 ★하다 ( ① Do 자발적으로 자가발현 하여지게 하는 양상 행위 )

한국어 ★지 않다 ★지 마라 지★ 마세요 ( ② not 부정 하여지게 하는 양상을 ) 존재 하여지게 하세요 !

 

Don't look ★보는 일행위를 하지 마세요 !

Don't look ★보지 마세요 ! 바라보지 마세요 ! 쳐다보지 마세요 !

 

그렇고 그런데 그렇거나 말거나 지금은 so 를 연습하는 것입니다

① Do ② not ③ look ④ so ⑥ angry

④ so 그렇게 ⑥ angry 화난 양상 ! angry 형용사로 사용하여졌으니까 화난 ! 이렇게 해석하면 되겠죠 또 화난 양상 ! 해도 되죠

angry 형용사 ! 화난 ! 화가 나 있는 ! 화가나 있는 모습 상태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 ! 을 형용사 angry 라고 하면 된다 !는 거에요

so 가 형용사 angry 를 수식하나봐요 so angry ! 소오 앵그리 ! 라는 소리 사운드가 뇌에 소오 앵그리 ! 라는 소리 음원으로서 각인하여집니다

즉 그것은 so 가 형용사 angry 를 수식한다는 문법적 사실 이전에 어린 가슴에 소오 앵그리 ! 라는 소리 사운드가 박혀 버린 것이죠

그리고 그것도 모자라 어린 가슴에 Don't look ! 돈 룩 이라는 소리 사운드가 또 박혀 버립니다

Don't look ! 돈 룩 이라는 소리 사운드와 so angry ! 소오 앵그리 ! 라는 소리 사운드가 화음을 이루어

Don't look ! so angry ! 돈 룩 ! 소오 앵그리 ! 하나의 음원 소리 파일로서 뇌에 각인하여져 버립니다

 

그래서 so 라는 말의 언어학적 의미가 궁금하다 그러나 난 언어학에 무관한 사이비 음모론자다 라는 딜레마를 안고서

so 를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 so를 물아일체 이심전심 동화 so 상대적 자가모순 so 상대적 자가당착 이라하고 놀고 있어요

Don't look ! so angry ! 돈트 룩 ! 소오 앵그리 !

① 주어 화자가 육안으로서 목도하여지게 하는 행위! 바라보는 행위 ! look 이라는 행위를 존재 하여지게 합니다 !

② 주어 화자가 look 하는 데 주어 화자가 화가난 양상 으로 존재 하여지는 양상 angry 한 양상 모습이죠 !

③ 주어 화자가 angry 한 양상으로 look 하는 행위를 존재 하여지게 합니다 ! Look angry ! 하는 행위를 한다 이거죠

④ Look angry ! 하는 행위를 하지마라 Look angry ! 하는 행위를 부정하여지게 하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게 하라 !

Do not angry ! Don't look angry ! 화난 양상으로 바라보는 행위를 하지 마세요 ! 이렇게 되고 ! 됩니다

⑤ so 그렇게 ! so 그러한 양상으로 ! 화난 양상으로 바라보는 행위를 하지 마세요 !

Don't look so angry ! 이렇게 영어 문장이 풀어지고 조아지고 약간 이해가 하여집니다

 

근데 여기서 so 의 의미를 그렇게 ! 그러한 양상으로 ! 라고 이해할 수 있는데

영어에서는 이 so 부사의 뜻을

( very ) ( extremely ) ( to such a degree ) ( to such a great degree ) 라고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매우 극단적 그러한 정도 범위 또는 그러한 대단한 정도 범위 ! 에 의하여 주어 사람의 어떤 일행위가

존재 하여지는 것을 so 부사로서 사용해요 ! 이 정도로 이해하여집니다

근데 이러한 원어민 설명에 입각한 부사로서의 so 의 뜻이

Don't look so angry !

➜ 그렇게 ★ 화난 양상으로 보는 행위를 하지 마세요 !

➜ 그러한 양상으로 ★ 화난 양상으로 보는 행위를 하지 마세요 !

➜ 그토록 ★ 화난 양상으로 보는 행위를 하지 마세요 ! 라는 해석상으로 잘 드러나지 않고 쉽게

so 의 뜻이 감각적으로 와 닿지 않고 느껴지지 않는 듯 합니다

 

그래서 Don't look so angry ! 를 영어 사전의 설명대로

그렇게 그토록 아주 엄청 매우 정말 ★화난 양상으로 보는 행위를 하지 마세요 ! 라고 해석을 하여봅니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도 상황적으로는 어느 정도 so 의 뜻에 걸맞는 ★ 상황적 해석으로 보이기는 하는 데

뭔가 좀 이상하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어요

 

Don't look so angry !

so 를 말하게 되면 어떤 행위를 지시하거나 비교하여지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이러한 so 의 비교 지시 기능 상황이 문장으로 뚜렷하게 잘 드러나지 않고 사람이 실제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저지르는 행위이고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사람의 생각 마음 뇌 심리에서 지시 비교 하여지는 상황이 발생한다도 할 수 있죠

이러한 여러가지 상황들을 토대로 하여 so 부사이든지 접속사이든지 so 의 뜻을 사이비 주술하는 것은 별 다른 이변없이

so 를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 so를 물아일체 이심전심 동화 so 상대적 자가모순 so 상대적 자가당착 이라하고 놀고 있어요

 

Don't look so angry !

내가 먹을려고 남겨 둔 도넛을 니가 다 먹어 버렸으니까

화난 양상으로 보는 행위를 합니다 ! ⓐ 🙍‍♀️ Look angry !

여기에서 ➜ 🙍‍♀️화난 양상으로 보는 행위를 하는 🙍‍♀️➜ 주어 사람이

🙍‍♀️주어 사람 자신이 ➜ 🙍‍♀️ angry ➜ 화난 양상에 ★

🙍‍♀️➜ 물심양면 일심동체 ➜ 동조 하여지는 양상으로 ★ look 보는 행위를 합니다 ! ⓐ 🙍‍♀️ Look angry !

즉 그냥 단조롭게 ⓐ 🙍‍♀️ Look angry ! 한다는 것은 아닌 것 같고

🙍‍♀️주어 사람 자신이 ➜ 👉🏼 ⓐ ★🙍‍♀️ Look angry ! 하는 ★ 양상에 ➜ 🙍‍♀️주어 사람 자신이

🙍‍♀️➜ 물심양면 일심동체 ➜ 동조 하여지는 양상으로 🙍‍♀️주어 사람 자신이 ➜ 👉🏼★ⓑ 🙍‍♀️ Look angry ! 하는 양상이고

또한

🙍‍♀️주어 사람 자신이 ➜ 👉🏼 ⓐ ★🙍‍♀️ Look angry ! 하는 ★ 양상에 ➜ 🙍‍♀️주어 사람 자신이

🙍‍♀️➜ 물심양면 일심동체 ➜ 동조 하여지는 양상으로 🙍‍♀️주어 사람 자신이 ➜ 👉🏼 ⓑ ★🙍‍♀️ Look angry ! 하는 양상이

🙍‍♀️주어 사람 자신에 의하여 ★상대적 자가모순 하여지지 않은 목적의식에 입각하여 ★🙍‍♀️ Look angry ! 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집니다 ( 내가 먹을려고 남겨 둔 도넛을 니가 다 먹어 버렸으니까 )

그래서

🙍‍♀️주어 사람 자신이 ➜ 👉🏼 ⓐ ★🙍‍♀️ Look angry ! 하는 ★ 양상에 ➜ 🙍‍♀️주어 사람 자신이

🙍‍♀️➜ 물심양면 일심동체 ➜ 동조 하여지는 양상으로 🙍‍♀️주어 사람 자신이 ➜ 👉🏼 ⓑ ★🙍‍♀️ Look angry ! 하는 양상이

🙍‍♀️주어 사람 자신에 의하여 ★상대적 자가모순 하여지지 않은 목적의식에 입각하여 ★🙍‍♀️ Look angry ! 하는 사태가

벌어지니까 !

 

👉🏼🙍🏼‍♂️화자 상대방 사람

🙍🏼‍♂️이 사람은🙍‍♀️ 주어 화자의 화난 양상 angry 한 양상의 정도 수준 이나 양상을 so 지시 비교 하여

그렇게 그토록 그러한 양상으로 그와 같이 그렇게 그러한 양상으로

 

👉🏼🙍🏼‍♂️➜ ( 🙍‍♀️ Look angry ! 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주어 사람에게 )

( 🙍‍♀️니가 🙍‍♀️★ angry 화난 양상에 ) ( 🙍‍♀️ 니가 ★ so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 하여 )

( 🙍‍♀️니가 🙍‍♀️★ angry 화난 양상에 ) ( 🙍‍♀️ 니가 ★ so 상대적 자가모순 하여지지 않는 양상으로 )

(🙍‍♀️ Don't look 🙍🏼‍♂️니가 보는 행위를 하지 말아라 ! ) ( 🙍🏼‍♂️ so angry ! ) 가 되고

Don't look so angry !

그토록 그렇게 화난 양상으로 보는 행위를 하지 마세요 ! 🙍🏼‍♂️무서워요

이렇게 Don't look so angry ! 에 부사로서 쓰인 so 의 심리적 발화 의미를 한번 생각을 해 본다는 거에요

부사나 접속사나 so 의 의미는 같다고 보고 다만 so 가 문장 위치 구조나 상황적으로 접속사 기능으로 사용하여지면

so 접속사가 되는 것이죠

 

그러나 음모론적으로 주술하는 ★ so 물심양면 일심동체 동조 ★ so 상대적 자가모순 ! 은

화자의 무의식적 so 발화 현상이므로 🙍‍♀️화자에 의식에서 나타나지는 않는다고 봐야죠

언어는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발화한다고 봐야죠 🙍‍♀️사람이 무언가를 의식하는 상황과 함께

🙍‍♀️화자에 의식에서 so 가 나타난다면

( very ) ( extremely ) ( to such a degree ) ( to such a great degree ) !

그토록 아주 엄청 매우 정말 그렇게 그와 같이 그러한 양상으로 ! 이렇게 나타나겠죠

 

 

 

👉🏼🙍🏼‍♀️🙍‍♀️🙍🏻‍♀️🙍‍♂️🙍🏼🙍🏼‍♂️🙍① ② ③ ④ ⑤ ⑥👈🏼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