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 뜻 방금 영어 만들기 C174
Did Tom go to Australia?
톰은 호주에 갔나요?
Tom just went to Australia.
톰은 방금 호주에 갔어요.
just ➜ ( now ) ( very soon ) ( very recently ) ➜ 지금 방금 막
이것은 내용은 아래의 Just 뜻 영어 만들기 just 방금 막 C25
내용과 대동소이합니다 오십보백보 이므로 아무 내용이 없어요
다만 just 가 한국어로 ➜ 지금 방금 막으로 번역 해석하여지는 것에 대한 반란입니다
Tom just went to Australia 문장은 표면적으로 ➜ 톰은 방금 호주에 갔어요 ! 라는 의미로 ➜ 이해하여집니다
아니 ➜ 해석하여지는 것이기는 한데 영영사전이 그렇게 부추기고 있고 또한 누군가는
just 가 한국어로 ➜ 지금 방금 막으로 번역 해석하여지는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할 것입니다
그 바람은 좋은 바람이기도 합니다 통쾌하고 시원하고 짜릿한 쾌감을 느끼게 하여 줍니다
그래서 Tom just went to Australia ! 톰은 방금 호주에 갔어요 ! 이것을 약간 생각하여 봅니다
톰은 ➜ 방금 호주에 갔어요 ! 라는 말은 한국말입니다
톰은 ➜ 방금 호주에 갔어요 ! 라는 말은 한국말은 톰은 ➜ 조금전 까지만 해도 호주에 ➜ 가지 않았음을 시사합니다
그리고 Did Tom go to Australia? 톰은 호주에 갔나요?
드러나는 사건의 정황상 톰은 ➜ 방금 호주에 갔어요 ! 라는 말은
톰은 ➜ 조금전 까지만 해도 호주에 ➜ 가지 않았다는 의문 부정의 상황 정황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① 톰은 ➜ 조금전 까지만 해도 호주에 ➜ 가지 않았다 라는 의문 부정의 상황과
② 톰은 ➜ 방금 호주에 갔어요 ! 라는 긍정의 상황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호응하여지고 있다 할 것입니다
그래서 휴먼 인간들이 ① ② 의 사건이 벌어지는 상황을 두 눈으로 똑똑히 바라보며 자신들의 상황으로서
상황인식을 하고 있었다 ! 그것을 알 수 있다 할 것입니다
그래서 이 ① ② 의 사건은 톰이 호주에 호주로 간다는 사건의 ➜ 시간적 상황으로서
조금전 까지➜ 방금 ! 조금전 까지➜ 방금 ! 조금전 까지➜ 방금 ! 이라는 시간적 상황이라 할 것입니다
① 조금전 까지➜ 어떤 사건이 터지지 않고 있다가 ➜ ② 방금 ! 어떤 사건이 터져버린 상황이라 할 것입니다
주어 화자 대화 당사자들은 이 상황에 참여하여져 있고
이 사건의 상황을 연출하는 당사자 주인공들이라 할 것입니다
Did Tom go to Australia? 톰은 호주에 갔나요?
Tom just went to Australia ! 톰은 방금 호주에 갔어요 !
그래서 다시 한국어 말하기 상황으로 돌아와
톰이 호주에 가야 하는 상황이 있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① 야 ! 톰 호주에 갔어 ? ② 어 그래 ! 톰 호주에 갔어 !
① ② 문장에서 ➜ ② 어 그래 ! 톰 호주에 갔어 ! 라는 한국어 표현은
➜ 지금 방금 막 ! 이라는 표현을 하지 않아도
➜ 톰이 ➜ 지금 방금 막 ➜ 호주에 간 상황임을 암시 하여지게 합니다
① 야 ! 톰 호주에 갔어 ? ② 어 그래 ! 톰 호주에 갔어 ! 는 상황적으로
➜ 톰이 ➜ ( 지금 방금 막 ) ➜ 호주에 간 상황임이 ( 암시 ) 하여져 있을 수 있습니다
즉 한국어 표현에서 화자는 톰이 ➜ ( 지금 방금 막 ) ➜ 호주에 간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톰이 ➜ ( 지금 방금 막 ) ➜ 호주에 갔다고 하며 ➜ ( 지금 방금 막 ) ➜ 이라는 표현을 하지 않았는 데
그것은 톰이 ➜ ( 지금 방금 막 ) ➜ 호주에 갔다고 하며 ➜ ( 지금 방금 막 ) ➜ 이라는 표현을 하지 않아도
② 어 그래 ! 톰 호주에 갔어 ! 라는 표현 만으로도
톰이 ➜ ( 지금 방금 막 ) ➜ 호주에 간 상황이라는 것을 상황적으로 인식하고 느끼고
또한 상대방도 그 상황을 인식하고 이해한다는 것을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자가 톰이 ➜ ( 지금 방금 막 ) ➜ 호주에 갔어 ! 라고 말하는 것은
톰이 ➜ 조금전 까지만 해도 호주에 ➜ 가지 않았다는 의문 부정의 상황 정황이 강하게 작용하여지고 있었으므로
그 심리적 부담이 ➜ 반대급부의 긍정 ➜ ( 지금 방금 막 ) ➜ 톰이 ➜ 호주에 갔어 ! 라는
➜ ( 지금 방금 막 ) ➜으로 터져서 해소하여지는 느낌이 작용하여지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상황 이런 느낌의 한국어 ( 지금 방금 막 ) 이
단지 어떤 사건이 터지는 시간적인 상황이 ( 지금 방금 막 ) 이라는 것 만을 의미하지 않을 수 있죠
한국어로서 ( 지금 방금 막 ) 이라는 표현이 시간적인 상황으로서 ( 지금 방금 막 ) 이라는 의미를 넘어
한국인에게 어떤 심리적인 의미로서 말하여지는 가 ? 그것은 알 수가 없어요
영어의 입장에서 보면 영어도 별 수 없이
단지 어떤 사건이 터지는 시간적인 상황으로서 인식하여지는
( now ) ( very soon ) ( very recently ) 라는 의미로서
톰이 호주에 갔다 ! 고 ➜ T om went to Australia ! 라고 말하여도
톰은 ( now ) ( very soon ) ( very recently ) 라는 시간적 상황으로 호주에 갔다는 것이 될 수 있어요
즉 한국어 말하기 상황과 마찬가지로
Did Tom go to Australia? 톰은 호주에 갔나요?
Tom went to Australia ! 톰은 호주에 갔어요 ! 라고만 하여도
톰은 ( now ) ( very soon ) ( very recently ) 현재에 ( 지금 방금 막 ) 호주에 간 상황이라는 것을
현재에 벌어지는 사건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톰이 ➜ 현재에 호주에 갔는지 ➜ 가지 않은 상황인지 ➜ 궁금하였을 것입니다
( 현재 상황 ) ① Did Tom go to Australia? 톰은 호주에 갔나요?
( 현재 상황 ) ② Tom went to Australia ! 톰은 호주에 갔어요 !
그래서 톰이 ( 지금 방금 막 ) 호주에 갔다는 상황이라는 것을 알고 인식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톰이 ( 조금전 까지 ) 호주에 가지 않았다는 라는 상황이 있음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톰이 ( 조금전 까지 ) 호주에 가지 ➜ 않았다는 라는 ➜ 상황에
➜ just 정반합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 ( 지금 방금 막 ) 톰이 호주에 ➜ 간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톰이 호주에 가는 행위를 한 것은 톰에 의하여 상대적 자가모순 하여지지 않은 양상으로
톰은 ( 조금전 까지 ) 호주에 가지 ➜ 않았다는 라는 ➜ 상황에 부화뇌동하는
① Did Tom go to Australia? 톰은 호주에 갔나요? ➜ 의문 부정 ➜ 에
정반합 하여지는 just ( 지금 방금 막 ) 호주에 갔다는 상황에 의하여 존재 하여지는 양상으로서
톰이 호주에 간것은 톰에게 상대적 자가모순 하여지지 않는 일행위로서 존재하여지고
이것은 급기야 ( 현재 상황 ) ② Tom went to Australia ! 톰은 호주에 갔어요 ! 를
( 현재 상황 ) ② Tom just went to Australia ! ( 지금 방금 막 ) 톰은 호주에 갔어요 ! 라고
just 라는 말을 ( 지금 방금 막 ) 이라는 상황으로서 소개하고 있었다 그런 거죠
호주에 가까 마까 ? 호주에 가면 뭐하겠어 ? 캥거루만 잔뜩 만나는 거 아냐 ?
아냐 호주를 무시하면 안돼 ! 그래 ! 호주로 한번 떠나보자 ! 올 여름 시드니에 몸을 한번 적셔 보자 !
Did Tom go to Australia? 톰은 호주에 갔나요?
② Tom just went to Australia ! ( 지금 방금 막 ) 톰은 호주에 갔어요 !
★👉🏼🙍🏼♀️🙍♀️🙍🏻♀️🙍♂️🙍🏼➜ ① ② ③ ④ ⑤ ⑥👈🏼 ⓐ ⓑ ⓒ ⓓ ⓔ ⓕ ⓖ ⓗ
Just 뜻 영어 만들기 just 방금 막 C25
Have you had lunch?
점심 드셨어요?
I just had lunch.
방금 점심을 먹었어요.
Have you had lunch?
당신은
점심을
실사구사 하여지게 한 양상을
실사구사 하여지게 하나요?
I just had lunch
난
단지 그냥 그저
점심을
실사구사 하여지게 하였어요
I just had lunch ! 이 문장에서 말하여진 just 를
( now ) ( very soon ) ( very recently ) 라는 ➜ 개념 혹은 ➜ 뜻 또는 ➜ 상황적 의미로서 소개하죠
그래서 음 어어 I just had lunch ! 에서 just 의 뜻은 뭐지 ? ➜ 한국어로 해석을 하여야 하는 데
뭐라고 해석을 하까 ? 를 생각하게 되면 ➜ 한국인이라면 누구라도 그러하듯이 아싸 그래 !
이 just 는 ➜ 방금 지금 막 ! 이라는 한국어 해석이 딱이야 !
I just had lunch ! ➜ 난 ➜ 방금 지금 막 ➜ 점심을 먹었어요 ! 이렇게 해석을 하고서 엄마아 ! 영어공부 끝났어요 !
다 했어 ! 여름이니까 이제 바닷가에 갈래요 ! 바다로 달려 가려 합니다 바다가 나를 부른다
그럼 이제 just 라는 영어를 만들어 보아야 하죠
이게 어색합니다 I just had lunch ! 이 just 를 ➜ 단지 그저 그냥으로 해석하여
난 ➜ 단지 그저 그냥 점심을 실사구사 하여지게 하였어요 ! 해석하면 한국어로 자연스럽지 못하고 상당히 어색 하죠
그래서 난 ➜ 정반합 하여지는 양상으로 점심을 실사구사 하여지게 하였어요 ! 해석하면 이것도 어색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I just had lunch ! 라는 영어 문장을 써놓고 한국어 해석을 달아서
난 방금 지금 막 점심을 먹었어요 ! 이렇게 해석을 한국어로 보이게 해놓는 것 이거는
어떤 측면과 관점에서는 I just had lunch ! 라는 영어 문장을 이해 하지 않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발산합니다
잔소리 그만 ! 어쨌든 왜 just 를 말하였을까 ?
➜ 상황적으로 주어 화자가 점심을 먹지 않고 있는 ➜ 상황이 존재 하여지고 있는 ➜ 상황입니다
그리고 주어 화자가 점심을 ➜ 먹은 상황이 존재 하여지고 있는 ➜ 상황도 함께 존재 하여지고 ➜ 상황 입니다
그리고 사람이 항상 ➜ 현재 시점에 살아 있고 ➜ 현재시점에 어떤 일행위들이 ➜ 발생하여지는 것에
사람은 ➜ 촉각이 곤두서 있다할 것입니다
그러니까 사람이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삶을 사는 상황 속에 항상 존재 하여지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시점은 항상 현재 시점 ➜ 이전과 이후 ! 그러니까 상황적으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시점 ➜ 이전과 이후 ! ( now ) ( very soon ) ( very recently ) 라는 상황 속에서 사는 것이라 할 수 있죠
화자는 자신이 점심을 먹지 않고 있는 ➜ 상황이 존재 하여지고 있다가
➜ 현재시점에 ➜ 점심을 ➜ 먹은 상황이 존재하여진 버린 ➜ 상황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이것을 ( now ) ( very soon ) ( very recently ) 라고 말하고 있다 할 것입니다
어떤 행위가 발생하여지는 ( now ) ( very soon ) ( very recently ) 라는 상황은
사람에게서 항상 발생하여지고 있는 어떤 행위의 시간적 상황이라 할 수 있어요
이러한 어떤 행위가 발생하여지는 ( now ) ( very soon ) ( very recently ) 라는 시간적 흐름의 추이 상황에서
화자는 내가 왜 점심을 먹지 않고 있지 ? 라는 심리적 상황 속에 빠져 있는 것으로 볼 수있습니다
그러다가 아아 이제 지금 현재 시점에 내가 점심을 먹어 버린 상황이 발생하여져 버린 것입니다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하면 현재 시점 이전 직전에 지금 방금 막 점심을 먹은 상황이 발생하여져 있다 할 것입니다
내가 왜 점심을 먹지 않고 있지 ? 아니 왜 점심을 안먹고 있는 거야 ? 라는 강박의식에 부화뇌동하는
화자는 자신이 아직 점심을 먹지 않고 있는 현재 시점 이전 상황에
★정반합 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현재시점에 꼴까닥 ★점심을 먹어 버린 상황이
내가 왜 점심을 먹지 않고 있지 ? 아니 왜 점심을 안먹고 있는 거야 ? 라는 상황의 화자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자가모순 하여지지 않는 양상으로 존재하여지고
화자는 현재 시점 ( now ) ( very soon ) ( very recently ) 지금 방금 막
점심을 먹지 않은 양상에 just 정반합하여지는 양상으로 존재 하여지는
현재 시점에 점심을 먹어버린 양상이므로
I had lunch ! 난 점심을 먹었어요 ! 하면 현재 이전 과거에 점심을 먹었다는 표현이 될 수 있는 데
I just had lunch ! 는
I had lunch ! 난 점심을 먹었다 ! 내가 점심을 먹지 않은 양상에 just 정반합 하여지는 양상으로
현재시점에 난 점심을 먹었다 ! I just had lunch ! 하고서 말한다 하겠어요
또한
현재시점에 점심을 먹은 행위를 한 사람이
현재시점에 점심을 먹은 행위를 하였다고 말을 하는 것인데
현재시점에 점심을 먹은 행위를 한 양상에 정반합하여지는
I had lunch ! 난 점심을 먹었다 ! 고 하는 현재시점 이전 과거에 점심을 먹었다
I had lunch ! 과거형으로 말하면서 just 를 말하니까
I just had lunch ! 이렇게 말하여지는 것 아닌가 그렇게 생각이 되기도 하죠
I just had lunch !
현재 점심을 먹은 양상에 정반합하여지는 현재 이전 과거에 점심을 먹었어 !
현재 이전 과거에 점심을 먹지 않은 양상에 정반합하여지는 현재에 난 점심을 먹었어 !
I have just eaten my lunch !
현재 이전 과거에 점심을 먹지 않은 양상에 정반합하여지는 현재에
현재 완료하여지는 양상으로 난 점심을 먹은 양상을 실사구사 하여지게 하는 양상이야
★👉🏼🙍🏼♀️🙍♀️🙍🏻♀️🙍♂️🙍🏼➜ ① ② ③ ④ ⑤ ⑥👈🏼 ⓐ ⓑ ⓒ ⓓ ⓔ ⓕ ⓖ ⓗ